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윌리엄 부자의 한국 사랑

이한기2024.06.20 13:58조회 수 20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윌리엄 부자의

   한국 사랑

 

한국 이름이 서위렴인

아버지 윌리엄 얼 쇼

박사는 평양

광성학교에서

교육 선교사로

활동하다 6·25전쟁이

일어나자 미군에 자원

입대하여 한국 군대에

군목제도를 도입한

분이다.

그는 군목으로서

죽음의 공포에 떨고

있는 병사들의 영혼을

위로하며 헌신했다.

1954년 목원대의

전신인 감리교

대전신학원이 설립될 

창립 이사로 참여하여

신학 교수로 재직하며

전쟁 속에서 한국의

교육발전에 기여했다.

부전자전으로 그의

한국 사랑은 아들에게도

이어졌다.

아들 윌리엄 해밀턴 쇼는

그의 아버지가 한국에

들어온 다음 해인

1922년에 평양에서

출생했다.

그는 평양에서

고등학교까지 자랐기

때문에 유창한 한국어

실력을 갖출 수 있었고

많은 한국인 친구들을

사귈 수 있었다.

이후 쇼 대위는 미국으로

건너가 대학을 졸업하고

1943년 미 해군에

입대해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초계어뢰정의 부장으로

복무하다 전역 후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국을 그리워했던

쇼 대위는

조선해양경비대

사관학교에서

교관으로 근무하며

생도들에게 영어와

함정 운용술 등을

가르쳤다.

이후 쇼 대위는

철학박사학위 공부를

위해 하버드 대학에

입학했으나

6.25 전쟁이 일어나자

학업을 중단하고

해군에 자원 입대했다.

쇼 대위가 부모님께

보낸 편지에는

“한국에서 태어났으니

한국 사람입니다.

내 조국에서 전쟁이

났는데 어떻게 마음

편하게 공부만 하고

있겠어요. 내 조국에

평화가 온 다음에

공부를 해도 늦지 않아요.

지금 그들을 돕지

않는다면 제 양심이

허락하지 않을

것입니다!”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다.

쇼 대위는 맥아더 장군을

최측근에서 보좌하며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이후 서울탈환작전에

참가하여 김포반도,

행주산성, 신촌 노고산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나

1950년 9월 22일

녹번리 전투에서 적의

기습공격을 받아

안타깝게도 만 28세

나이로 전사하였다.

윌리엄 얼 쇼 박사는

아들이 전사한 이후에도

계속 한국에 남아

교수로 활동하며 인재

양성에 힘썼고, 78세

 나이로 별세했다.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아버지,

윌리엄 얼 쇼와 아들,

 윌리엄 해밀턴 쇼는

서울 마포 양화진

외국인 묘지 제2묘역

라-6에 나란히

안장되어 있다.

우리 모두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윌리엄 부자의

한국에 대한 사랑을

가슴 속 깊이 새겨야겠다.

 

- 옮긴글 -

 

2024년 6월

'호국보흔의 달'에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7 이승하 시인의 ‘내가 읽은 이 시를’(333) 어느 어머니의 이야기―김일태의 「만다꼬」 관리자 2023.12.02 13
336 12월 저녁의 편지 송원 2023.12.22 13
335 질투는 나의 힘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13
334 코미디언 양세형, 시인으로 인정받았다…첫 시집 '별의 집' 베스트셀러 기록 관리자 2024.01.08 13
333 2024 경상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시 - 솟아오른 지하 황주현 관리자 2024.01.11 13
332 걸림돌 - 공 광규- 관리자 2024.01.12 13
331 효도孝道 이한기 2024.02.20 13
330 바람과 햇살과 나 - 시바타 토요- 송원 2024.03.03 13
329 "스파 월드"는 휴스턴 주류 언론에서도 자주 취재할 정도로 명소 관리자 2024.03.15 13
328 첫사랑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관리자 2024.03.22 13
327 밭고랑 위에서/김소월 이한기 2024.04.01 13
326 이정무 이정자 회원 4월2일 축하연을 위해 준비모임1 관리자 2024.03.28 13
325 그대들이시여! (조선왕조실록 독후감) -아해 김태형- 관리자 2024.04.08 13
324 중용中庸의 덕德 이한기 2024.04.12 13
323 어머니 말씀 이한기 2024.05.12 13
322 향수- 정지용 관리자 2024.06.14 13
321 세월아 - 피천득 관리자 2023.12.06 14
320 그 손 - 김 광규 송원 2023.12.19 14
319 개여울 - 김 소월 관리자 2024.01.11 14
318 조선초대석 - 박정환 전 플로리다 한인연합회장 관리자 2024.01.12 1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