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프레 쓸라 (Apres cela)

관리자2024.05.30 13:17조회 수 6댓글 0

    • 글자 크기

 

아프레 쓸라

(Apres cela) 

 

인생은 어디서 와서 무엇을 위해 살며 어디로 가는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누구나 한번 쯤 이러한 의문을 가져보았을 것입니다. 

 

인생은 어디서 와서 무엇을 위해 살며 어디로 가는가?

나는 어디서 왔는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로 갈 것인가? 

 

이 질문은 동서양의 모든 철학자의 질문이요 모든 인간이 갖는 질문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명쾌하게 답을 못했습니다. 

 

​프랑스 파리에 있는 한 수도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큰 돌 비석이 하나 있고 그 비문에는 ‘아프레쓸라(Apres cela)’ 라는 말이

세 번이나 반복해서 적혀 있다고 합니다. 

 

‘아프레 쓸라’라는 말은

 ‘그 다음은, 그 다음은, 그 다음은’ 이라는 뜻인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학을 하던 한 법대생이 마지막 한 학기를 남겨 놓고

학비를 도저히 마련할 길이 없었습니다.

그는 고민 끝에 신부를 찾아가 도움을 청합니다. 

 

그러자 신부는 “마침 조금 전에 어떤 성도가

좋은 일에 써 달라고 돈을 한 묶음 갖다 놓고 갔네. 

이건 분명히 자네를 위한 것일세.” 하고는 돈을 세 보지도 않고

이 학생에게 내어 주었습니다. 

 

뜻밖의 도움을 받은 이 학생은 기쁜 얼굴로 봉투를 받아 돌아 나오는데

신부가 잠시 불러 세웁니다. 

 

“한 가지 묻겠는데 자네는 그 돈을 가지고 가서 뭘 하려나?”

“말씀을 드린 대로 등록금을 내야지요.” 

 

“그 다음은?”

“열심히 공부해서 졸업을 해야지요.” 

“그 다음은?”

“법관이 돼서 억울한 사람들을 돕겠습니다.

 

“좋은 생각이구만 그래 주면 좋겠네.

그럼 그 다음은?” 

 

“돈 벌어서 장가도 가고,

가족들도 먹여 살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 다음은?” 

 

심상치 않은 질문에 학생은 더 이상 대답을 못했습니다.

 

신부는 빙그레 웃으면서 말했습니다. 

 

“그 다음은 내가 말하지.

자네도 죽어야 하네.

그 다음은 자네도 심판대 앞에 설 것일세.

알았는가?” 

 

학생은 집으로 돌아왔지만 ‘Apres cela’라는 신부의 질문이

귓가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학생은 결국 돈을 신부에게 돌려주고

수도원으로 들어가서 수도사가 되었고,

보람되고 귀한 일들을 많이 하며 생을 보냈습니다. 

 

그가 죽고 난 뒤에 그의 묘비에는

그가 한평생 좌우명으로 외우던 세 마디를 써 놓았답니다.

 

 ‘Apres cela, 

 

우리들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계획들을 세워봅니다. 

 

어떤 사람은 돈을 많이 벌어 행복하게 살기를,

어떤 사람은 명예를 얻어 남들에게 부러움을 사기를,

어떤 사람은 권력을 얻어 다른 사람 위에 군림하며 살아가기를 바랍니다.

그런데, 그 다음은, 

그 다음은?... 

 

어리석은 사람은 오늘의 삶이 전부인양 현실에만 급급하여 살아갑니다. 

 

그러나 지혜로운 사람은

‘내 삶이 언젠가는 끝나는 날은 반드시 온다!’ 라는 것을

항상 생각하며 삽니다. 

 

우리의 영혼과 삶이 무기력하게 되는 이유는 종말 의식이 없기 때문입니다. 

 

​‘아프레 쓸라’ 

우리도 늘 기억하며 살아가야 할 단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우리의 삶이 시한부 이기에 더 소중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언젠가 끝나는 그 날 후회없도록 하루 하루를 의미있게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해 봅니다.

 

 

생의 목표(目標)

         

   -글 이해인-

 

◇인생의

7할을 넘게 걸어왔고

앞으로의 삶이

3할도 채 안 남은 지금

 

내 남은 생의 목표가 있다면 그것은 건강한

노인이 되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 늘어나는

검버섯이야 어쩔 수 없겠지만, 옷을 깔끔하게 입고

남의 손 빌리지 않고 내 손으로 검약한 밥상을 차려 먹겠다.

 

눈은 어두워져 잘 안보이겠지만

보고 싶은 것만 보는

편협(偏狹)한 삶을 살지는 않겠다.

 

약해진 청력으로

잘 듣진 못하겠지만

항상 귀를 열어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따뜻한 사람이 되겠다.

 

성한 이가 없어 잘 씹지 못하겠지만,

꼭 필요한 때만 입을 열며 상처주는 말을

하지 않는 사람으로 살겠다.

 

다리가 아파 잘 못 걸어도 느린 걸음으로

많은 곳을 여행하며

여행지에서 만난

좋은 것들과

좋은 사람들에게

배운 것을 실천하는

여유있는 삶을 살아가겠다.

 

어린 시절부터 줄곧 들어온 "무엇이 되고 싶냐?"는 질문에

이제 '건강한

노인이라고 답한다.

 

나이가 들면

건강한 사람이

가장 부자요.

건강한 사람이

가장 행복한 사람이요.

 

건강한 사람이

가장 성공한 사람이며, 건강한 사람이 가장 잘 살아온 사람입니다.

 

오늘도 변함없이

즐겁고 건강한 날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 글자 크기
2024년 5월 22일 세상 떠난 신경림 시인의 ‘가난한 사랑 노래’ [고두현의 아침 시편] (by 관리자) 사랑굿 - 김초혜 (by 관리자)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7 봄이오는 길목에서 - 이 해인- 관리자 2024.03.04 6
496 눈물처럼 그리움 불러내는 정해종의 시편 관리자 2024.03.10 6
495 [내 마음의 시] 이별 그리고 사랑 관리자 2024.03.10 6
494 손흥민, 애스턴 빌라전 1골2도움…8시즌 연속 공격포인트 20개 돌파 관리자 2024.03.10 6
493 “절대 월드클래스 아니다”…아버지 혹평했지만 손흥민에게 벌어진 일 관리자 2024.03.20 6
492 봄이 오면 - 이 해인- 관리자 2024.03.24 6
491 나태주 시인과 팬 김예원 작가… 50년 차이에도 “우리는 친구” 관리자 2024.04.08 6
490 [책&생각]나는 이제 달리지 않고 누워 있다 관리자 2024.04.08 6
489 4월의 환희 - 이 해인- 관리자 2024.04.11 6
488 익모초(益母草) 를 선물로 드립니다 관리자 2024.04.14 6
487 아내와 나 사이 - 이 생진- 관리자 2024.05.02 6
486 오월 - 피 천득 관리자 2024.05.22 6
485 이정무 이정자 문우님을 만나 뵙고 왔습니다 관리자 2024.05.24 6
484 2024년 5월 22일 세상 떠난 신경림 시인의 ‘가난한 사랑 노래’ [고두현의 아침 시편] 관리자 2024.05.27 6
아프레 쓸라 (Apres cela) 관리자 2024.05.30 6
482 사랑굿 - 김초혜 관리자 2024.06.16 6
481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이한기 2024.06.26 6
480 한국 역사의 숨은 진실 이한기 2024.06.26 6
479 바보같은 삶- 장기려 박사님의 삶 관리자 2023.12.03 7
478 [동화] 문조 - 김옥애 관리자 2023.12.04 7
이전 1 2 3 4 5 6 7 8 9 10...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