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내와 나 사이 - 이 생짖-

관리자2024.05.27 13:29조회 수 3댓글 0

    • 글자 크기

 

 

 



 

아내와 나 사이

 

이 생 진

 

 

 

아내는 76이고

나는 80입니다.

지금은 아침저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걸어가지만

속으로 다투기도

많이 다툰 사이입니다.

 

요즘은 망각을

경쟁하듯 합니다.

 

나는 창문을 열러 갔다가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냉장고 문을

열고서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

 

누구 기억이

일찍 들어오나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억은 서서히

우리 둘을 떠나고

마지막에는

 

내가 그의

남편인 줄 모르고

그가

내 아내인 줄

모르는 날도

올 것입니다.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그것을 무어라고 하겠습니까.

인생?

철학?

종교?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지난 2019년 봄 평사리 최참판 댁 행랑채 마당에서

박경리 문학관 주최로

‘제1회 섬진강에 벚꽃 피면 전국시낭송대회’가 열렸습니다.

 

60여 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던 낭송시가

바로 이생진 시인의

이 작품입니다.

 

70대 후반쯤 되어 보이는

남성 낭송가의 떨리고 갈라지는 목소리에 실려 낭송된 이 시는

청중들로 하여금 눈시울을 젖게 하였습니다.

좋은 낭송은

시 속의 ‘나’와

낭송하는 ‘나’와

그것을 듣고있는 ‘나’를

온전한 하나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내 몸의 주인인 기억이

하나둘 나를 빠져나가서

마침내 내가 누군지도 모르게 되는 나이.

 

나는 창문을 열려고 갔다가

그새 거기 간 목적을 잊어버리고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무엇을 꺼내려고 냉장고에 갔다가

냉장고 문을 열어놓은 채

그 앞에 우두커니

서 있는 장면은

상상만 해도

앞이 막막하고

울컥하지 않습니까?

 

시인은 차분하게

이 참담한 상황을 정리합니다.

 

 

 

 우리의 삶이란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일 뿐이라고.

 

그리고 자책하는 목소리에 담아

우리를 나무라지요.

거창하게

인생이니,

철학이니,

종교니 하며

 

마치 삶의 본질이

거기에 있기나 한 것처럼 핏대를 올리는 당신들은

얼마나 어리석은가 하고.

 

진리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그러므로

‘아내와 나 사이’의 거리는

우리의 어리석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바로미터인 셈이지요. 

 

오늘도 당신은 좋은일만 있을겁니다.

 

 

2024년 5월 27일 월요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5 시창작을 위한 일곱가지 방법4 배형준 2022.01.23 53
564 신입회원 강이슬4 강이슬 2019.01.18 125
563 새해 문안 인사가 늦었습니다 .4 정희숙 2018.01.22 51
562 위안과 치유로서의 문학3 강화식 2022.08.05 48
561 나태주 시인의 강의 자료3 강화식 2022.08.04 193
560 비가 내리면/정헌재3 keyjohn 2022.04.16 87
559 시 창작 초기에 나타나는 고쳐야 할 표현들/도종환3 배형준 2018.01.28 345
558 회원보고 권한이 없다고 하는 경우는 무엇인가?3 Jackie 2018.01.12 112
557 [문학강좌] 구명숙 교수 특강3 hurtfree 2017.06.12 96
556 시 쓰기2 Wslee 2024.02.11 145
555 공존의 이유 시:조병화 글:김현욱2 배형준 2022.10.21 46
554 애틀랜타 문학회 10월 정모 결과 보고2 keyjohn 2022.10.10 71
553 8월 애문 정모 결과 보고2 keyjohn 2022.08.08 47
552 유성호 평론가(한양대 교수) PPT2 강화식 2022.08.04 56
551 LA 미주한국문인협회 웹사이트에 올린 여름문학 축제 포스터2 강화식 2022.08.04 78
550 문정영 시인 초청 문학특강2 강화식 2022.06.06 53
549 3월 애문 정모 결과 보고2 keyjohn 2022.03.14 38
548 문학평론가 유성호( 문학축제 강사) 영상 특강2 keyjohn 2022.02.26 50
547 시적장치의 삼각도2 배형준 2022.01.23 56
546 2021년 2월 모임 기록2 keyjohn 2021.02.15 84
이전 1 2 3 4 5 6 7 8 9 10...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