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내와 나 사이 - 이 생짖-

관리자2024.05.27 13:29조회 수 3댓글 0

    • 글자 크기

 

 

 



 

아내와 나 사이

 

이 생 진

 

 

 

아내는 76이고

나는 80입니다.

지금은 아침저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걸어가지만

속으로 다투기도

많이 다툰 사이입니다.

 

요즘은 망각을

경쟁하듯 합니다.

 

나는 창문을 열러 갔다가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냉장고 문을

열고서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

 

누구 기억이

일찍 들어오나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억은 서서히

우리 둘을 떠나고

마지막에는

 

내가 그의

남편인 줄 모르고

그가

내 아내인 줄

모르는 날도

올 것입니다.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그것을 무어라고 하겠습니까.

인생?

철학?

종교?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지난 2019년 봄 평사리 최참판 댁 행랑채 마당에서

박경리 문학관 주최로

‘제1회 섬진강에 벚꽃 피면 전국시낭송대회’가 열렸습니다.

 

60여 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던 낭송시가

바로 이생진 시인의

이 작품입니다.

 

70대 후반쯤 되어 보이는

남성 낭송가의 떨리고 갈라지는 목소리에 실려 낭송된 이 시는

청중들로 하여금 눈시울을 젖게 하였습니다.

좋은 낭송은

시 속의 ‘나’와

낭송하는 ‘나’와

그것을 듣고있는 ‘나’를

온전한 하나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내 몸의 주인인 기억이

하나둘 나를 빠져나가서

마침내 내가 누군지도 모르게 되는 나이.

 

나는 창문을 열려고 갔다가

그새 거기 간 목적을 잊어버리고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무엇을 꺼내려고 냉장고에 갔다가

냉장고 문을 열어놓은 채

그 앞에 우두커니

서 있는 장면은

상상만 해도

앞이 막막하고

울컥하지 않습니까?

 

시인은 차분하게

이 참담한 상황을 정리합니다.

 

 

 

 우리의 삶이란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일 뿐이라고.

 

그리고 자책하는 목소리에 담아

우리를 나무라지요.

거창하게

인생이니,

철학이니,

종교니 하며

 

마치 삶의 본질이

거기에 있기나 한 것처럼 핏대를 올리는 당신들은

얼마나 어리석은가 하고.

 

진리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그러므로

‘아내와 나 사이’의 거리는

우리의 어리석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바로미터인 셈이지요. 

 

오늘도 당신은 좋은일만 있을겁니다.

 

 

2024년 5월 27일 월요일

 

 

 

 

 



    • 글자 크기
2024년 5월 22일 세상 떠난 신경림 시인의 ‘가난한 사랑 노래’ [고두현의 아침 시편] (by 관리자) 소풍같은 인생 - 추가열- (by 관리자)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3 제26회 재외동포 문학상 공모 … 오는 6월 30일까지 관리자 2024.05.30 8
532 “어쩌면 시 쓰기가 멈춰지지 않아서”…‘여든’ 나태주 시인의 봄볕같은 고백 [북적book적] 관리자 2024.05.30 306
531 나그네 관리자 2024.05.30 7
530 트바로티 김호중이 수감된 구치소에서 매일 아침 일어나는 일 관리자 2024.05.30 5
529 아프레 쓸라 (Apres cela) 관리자 2024.05.30 5
528 절영지회(絶纓之會) 이한기 2024.05.30 18
527 도척지견(盜拓之犬) 이한기 2024.05.30 15
526 접시꽃 당신 - 도 종환- 관리자 2024.05.30 4
525 소풍같은 인생 - 추가열- 관리자 2024.05.30 2
524 기다려주는 사람 이한기 2024.05.29 19
523 하이쿠(俳句, 배구) 감상 이한기 2024.05.29 16
522 웃음의 힘 관리자 2024.05.28 9
521 과하지욕(胯下之辱) 이한기 2024.05.28 20
520 여섯 가지 도둑 이한기 2024.05.28 16
519 태권도 & K-Pop Festival 7년만에 재개 관리자 2024.05.28 7
518 Have a Safe Memorial Day! 관리자 2024.05.28 3
517 2024년 5월 27일 메모리알 데이 - Happy Runners Marathon Club 관리자 2024.05.27 7
516 성공의 비결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관리자 2024.05.27 4
515 2024년 5월 22일 세상 떠난 신경림 시인의 ‘가난한 사랑 노래’ [고두현의 아침 시편] 관리자 2024.05.27 6
아내와 나 사이 - 이 생짖- 관리자 2024.05.27 3
이전 1 2 3 4 5 6 7 8 9 10... 29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