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과하지욕(胯下之辱)

이한기2024.05.28 18:10조회 수 21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과하지욕(下之辱)

 

어려운 처지에서 인내심을

갖고 끝내 굴욕을 참아내다.

下之辱(과하지욕)

 

중국 한(漢)나라 때의 명장

한신(韓信)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남의 집에

빌붙어 밥을 얻어

먹으며 살았다.

그는 청년이 되어서도

가난에서 벗어날 

없었으나 장차 나라에서

이름을 떨치는 장군이

되겠다는 큰 뜻을 품고

무술 연마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래서 한신은 허름한

옷을 입었으나 허리에는

항상 긴 칼을 차고 다녔다. 

 

 그러던 어느 날 그가

고향인 회음현의 시장

거리를 지나갈 때였다.

마침 곁을 지나가던

건달이 그에게 시비를

걸었다. 

 

 “이봐! 겁쟁이 주제에

꼴사납게 칼을 차고 다녀?

네놈이 용기가 있다면

그 칼로 나를 한 번

찔러봐라!

못 한다면 내 가랑이

밑으로 기어 가야 한다.”

건달은 한신의 앞길을

가로 막고 보란 듯이

가랑이를 쩍 벌렸다. 

 

그러자 주위로 시장

사람들이 몰려들어

과연 사태가 어찌 되어

가는지 지켜보았다.

한신은 그때 바닥에

엎드려 건달의 가랑이

사이로 기어 갔다. 

 

구경하던 사람들이

낄낄대고 웃으며 그를

‘겁쟁이’라고 놀려댔다.

 

 오랜 세월이 흐른 후 

한신은 한나라를

세우는데 큰 공헌을 

초왕(楚王)에 봉해졌다.

 

이때 그는 고향을 찾아가

옛날 자신에게 치욕을

안겨줬던 바로 그 건달을

만났는데, 상대는

앙갚음하기 위해 온

것으로 알고 벌벌 떨고

있었다.

 

 그러나 한신은 오히려

그 건달에게 중위 벼슬을

주고서 주위 사람들에게

말했다.

 

“옛날 이 사람에게

망신을 당할 때 왜 내게

칼을 뺄 용기가 없었겠소?

그때 모욕을 참지 못하고

이 사람을 찔렀다면,

나는 죄인의 신세를 면치

못해 인생을 망치고

말았을 것이오. 

그때 그 치욕을 참고

이 사람의 가랑이 사이로

기어 갔기에 지금의

내가 될 수 있었지요. 

내게 인내심을 가르쳐 준

사람이니 고마움을 전할

수밖에요.”

 

이 같은 한신의

일화에서

‘과하지욕(下之辱)’

즉  ‘가랑이 밑으로

기어 가는 치욕(辱)’을

이르는 사자성어

(四字成語)가 나왔다.

 

큰 뜻을 지닌 사람은 쓸데

없는 일로 남과 다투지

않고, 굴욕을 견뎌내어

장차인물로 우뚝 서게

된다는 것이다.

 

- 옮긴글 -

 

*(과)*

사타구니  과

 

*下(하)*

1.아래  하, 밑  하

下向(하향)

2.아랫사람  하

下嫁(하가)

3.뒤  하 下略(하략)

4.낮출  하 下誠(하성)

5.내릴  하, 내려갈  하,

내려줄  하 下野(하야)

6.물리칠  하  却下(각하)

7.떨어질  하 下落(하락)

8.손댈  하, 착수할  하

下筆(하필)

9.끝날  하, 마칠  하

下學(하학)

10.조건  하, 환경  하

情勢下(정세하)

 

*之(지)*

1.갈(go)  지

之東之西(지동지서)

2. ~의  지

人之常情(인지상정)

3.이(this)  지

論之(논지)

 

*辱(욕)*

1.욕  욕, 욕될  욕,

욕보일  욕, 더럽힐  욕

辱說(욕설)

2.욕되게 할  욕

[[ '너무나 분에 넘치는

일'을 겸사(謙辭)하여

이르는 말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8 제임스 조이스 연구 개척한 원로 영문학자 김종건 고대 명예교수 영면 관리자 2024.01.14 6
197 행복한 존재 - 김 은주- 관리자 2024.01.13 6
196 경쟁(競爭)?, 교감(交感)? 이한기 2024.01.12 23
195 조선초대석 - 박정환 전 플로리다 한인연합회장 관리자 2024.01.12 14
194 걸림돌 - 공 광규- 관리자 2024.01.12 13
193 떠도는 자의 노래 - 신 경림- 관리자 2024.01.12 7
192 칼 국수 - 김 종재 - 관리자 2024.01.12 5
191 평상이 있는 국수 집 - 문태준- 관리자 2024.01.12 12
190 국수가 먹고 싶다 - 이상국- 관리자 2024.01.12 5
189 국수 - 백석- 관리자 2024.01.12 10
188 2024 경상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시 - 솟아오른 지하 황주현 관리자 2024.01.11 13
187 개여울 - 김 소월 관리자 2024.01.11 14
186 꽃 - 로버트 크릴리- 관리자 2024.01.10 15
185 술잔을 권하노라 - 우 무룡- 관리자 2024.01.10 12
184 방송중학교 다니며 시집 펴낸 팔순 할머니 “황혼길 아름답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관리자 2024.01.10 6
183 비오는 날의 기도 - 양광모- 송원 2024.01.09 15
182 거리에 소리 없이 비 내리네 - 아르띄르 랭보- 관리자 2024.01.09 17
181 My life has been the poem.... 관리자 2024.01.09 10
180 [하이쿠}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번개를 보면서도 삶이 한 순간이라는 걸 모르다니! 관리자 2024.01.08 17
179 배웅 - 노노족 김상호- 관리자 2024.01.08 10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