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무괴아심(無愧我心)

이한기2024.05.25 08:35조회 수 18댓글 0

    • 글자 크기

     

 

 

무괴아심(無愧我心)

 

어떻게 다른 사람들의

뜻을 다 헤아릴 수 있겠는가

豈能盡如人意(기능진여인의)

 

다만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기를 구할 뿐이다

但求無愧我心(단구무괴아심)

 

무괴아심(無愧我心)은 나의

마음을 다잡아 보는 교훈같은

글이다.

 명나라 정치가 유기(劉基)는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고 남을 탓하기 전에 나를

돌아보라고 하였다

 

 나를 낮추고 상대방을 높이는

겸양지심(謙讓之心)은 유가

(儒家)의 큰 덕목이다.

맹자는 인간 본성에 네 가지

선한 씨앗이 있다고 했는데,

그중 하나가 겸양지심, 즉 예

(禮)다.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인

인(仁),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인 의(義),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인 지(智)와 함께

사단지심(四端之心)에 속한다.

 

군자의 손가락은 자신을

가리키고, 소인의 손가락은

남을 향한다.

소인은 일이 잘못되거나

허물이 생기면 그 탓을

남에게서 찾는다.

‘네 탓이오’를 입에 담고 산다.

명나라 정치가이자 시인 유기

(劉基)는 이런 소인들에게

따끔한 일침을 놓는다.

“어떻게 다른 사람들의 뜻을

다 헤아릴 수 있겠는가. 다만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기를

구할 뿐이다.

 

 무괴아심(無愧我心)은

‘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도록

한다’는 뜻으로, 남의 허물을

탓하기 전에 자기 스스로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는 의미다.

무괴아심은 [대학],  [중용]에

나오는 신독(愼獨)과도 맥이

닿는다.

신독은 홀로 있을 때도 도리에

어그러지지 않게 스스로 삼가는

것을 뜻한다. 마음을 들춰봐도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율곡 이이는 신독을

배움의 시작으로 보았다.

 

 가고가하(可高可下)의

직역은 ‘높아도 가(可)하고

낮아도 가(可)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는 벼슬이 높아도

거만하지 않고 낮아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비유적

표현이다. 그러니 가(可)는

부끄럽지 않고 떳떳한

마음이다. 높아도 오만하지

않으니 부끄럽지 않고, 낮아도

비굴하지 않으니 그 또한

부끄럽지 않다.

 

 내가 나를 높이면 오만이다.

그건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만이다.

천학비재((淺學菲才 : 배운

것이 적어 재주가 하찮음))

하다고 스스로를 낮춰도

남은 나를 알아본다.

군자는 허물을 자기 안에서

찾는다. 이 세상은 눈이 밝다.

내 안에 부끄러움이 없으면,

그 내면의 맑음을 귀신처럼

알아챈다.

         - 옮겨 정리한 글 -

 

*愧(괴) : 부끄러워 할 괴

            愧色(괴색) 

   (부끄러워 하는 얼굴빛)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0 뒤집어 보면 이한기 2024.01.26 31
379 진 달래꽃 - 김 소월- 관리자 2024.01.26 2
378 언젠가는- 만해 한용운- 관리자 2024.01.26 14
377 민족대표 한용운 선생… '님의 생가'를 찾아서 관리자 2024.01.26 6
376 할매 언니들이 꽉 안아줬다…불타고, 맞고, 으깨진 시인의 세상을 관리자 2024.01.27 8
375 백범 일지 관리자 2024.01.28 5
374 광야 - 이 육사- 관리자 2024.01.29 7
373 [문태준의 가슴이 따뜻해지는 詩] [5] 매화를 찾아서 관리자 2024.01.29 12
372 도서출판 문학공원, 김영수 시인의 ‘탐라의 하늘을 올려다보면’ 펴내 관리자 2024.01.29 6
371 [애송시 100편-제18편] 님의 침묵 - 한용운 관리자 2024.01.29 5
370 102계단 상승한 시집…요즘 짧은 시가 잘 팔리는 이유는? 관리자 2024.01.29 4
369 돌맹이 하나 - 김 남주- 관리자 2024.01.29 7
368 김소월 개여울 해설 관리자 2024.01.29 4
367 노후찬가(老後讚歌) 관리자 2024.01.29 6
366 동백꽃 지는 날 - 안도현- 관리자 2024.01.30 6
365 사랑 굿 - 김 초혜- 관리자 2024.01.30 8
364 내 고향 부여 -김동문- 관리자 2024.01.30 6
363 희망가 - 문병란- 관리자 2024.01.31 11
362 나를 좋아하기 연습 관리자 2024.01.31 11
361 Arizona 와 Utah 에 있는 아름다운 자연을 감상해 보세요 관리자 2024.01.31 3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