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친(親) 단상(斷想)

이한기2024.05.07 13:19조회 수 147댓글 0

    • 글자 크기

           친(親) 단상(斷想)

                                          淸風軒

 

한자(漢字) 친(親)의 파자(破字)는

립(立), 목(木), 견(見).

'나무에 올라서서 본다'는 뜻(?).

우견(愚見)으로는 한자(漢字)를

구성(構成)하는 육서(六書) 중의

하나인 '회의(會意)에 해당'(?)

되는 것 같다.

 

해 저무는 저녁에 저녁밥 준비를

다 마친 어머니가  5리(里)길

재너머 밭을 하루 종일 땀흘리며 

갈고 돌아올 아들에게 더 따뜻한

밥을 먹게 하려고 나무 위에 올라

아들이 어디쯤에나 오고 있는지

바라보는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담아낸 것이리라

 

그래서 자식들에게 애틋한 마음을

갖고 있는 아버지를 부친(父親),

어머니를 모친(母親)이라 하는가

보다.

한자(漢字) 친(親)은 '어버이'를 

뜻한다.

 

어버이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만큼 자식들이 어버이에

대한 '애틋한 마음'도 그럴까?

 

아버지, 어머니! 오늘따라 더욱

그립습니다.

오늘 밤 저의 꿈에라도 오셔서

좋아하시던 따끈따끈한 곰탕

한 사발 맛있게 드시옵소서!

이 불효자(不孝子)는 답답한

가슴 쓸어안고 얼마남지 않은

소풍나온 길 겨우겨우 숨쉬며

걸어가고 있습니다.

*****************************

      *친(親)의 네 가지 뜻*

1. 친할 친,  가까울 친 

                親密(친밀)

2. 어버이 친 

      親(엄친), 親(자친)

      兩親(양친), 親(선친)

3. 몸소 친,  친히 친

                親書(친서)

4. 친척 친   親戚(친척)

 

         <글쓴이 Note>

어버이날 앞두고 어버이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곱씹고 또 곱씹어 보았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06 직업/직분의 '사' (II) 2023.10.15 56
305 직업/직분의 '사' (I) 2023.10.14 69
304 직업/직분의 '사' (III) 2023.10.15 63
303 지음 받은 그대로 2023.09.24 67
302 지난 일상(日常)이 너무나 그립다 2023.10.17 62
301 중추가절(仲秋佳節) 한가위 2023.09.28 53
300 중구난방(衆口難防) 2023.10.13 52
299 죽치고 있어야지! 2023.07.01 392
298 주현절(主顯節) 2024.01.06 111
297 주시(注視)와 눈치 단상(斷想) 2024.02.06 112
296 주름나무에 열린 세월 2023.09.27 61
295 주(主) 승천(昇天) 대축일(大祝日) 2023.10.10 61
294 조국찬가(祖國讚歌) 2023.09.26 60
293 제72주년 6.25사변 2023.10.30 61
292 정의(定義)의 배리(背理) 2024.05.16 148
291 정월대보름 2 2024.02.24 121
290 정월대보름 1 2023.11.01 94
289 절차탁마(切磋琢磨) 2023.09.28 58
288 절망(絶望) 2023.09.25 59
287 절규(絶叫)하는 물방울들 2023.09.23 71
이전 1 ... 2 3 4 5 6 7 8 9 10...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