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친(親) -단상(斷想)-

이한기2024.05.07 13:19조회 수 145댓글 0

    • 글자 크기

           친(親)  -단상(斷想)-

                                          淸風軒

 

한자(漢字) 친(親)의 파자(破字)는

립(立), 목(木), 견(見).

'나무에 올라서서 본다'는 뜻(?).

우견(愚見)으로는 한자(漢字)를

구성(構成)하는 육서(六書) 중의

하나인 '회의(會意)에 해당'(?)

되는 것 같다.

 

해 저무는 저녁에 저녁밥 준비를

다 마친 어머니가  5리(里)길

재너머 밭을 하루 종일 땀흘리며 

갈고 돌아올 아들에게 더 따뜻한

밥을 먹게 하려고 나무 위에 올라

아들이 어디쯤에나 오고 있는지

바라보는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담아낸 것이리라

 

그래서 자식들에게 애틋한 마음을

갖고 있는 아버지를 부친(父親),

어머니를 모친(母親)이라 하는가

보다.

한자(漢字) 친(親)은 '어버이'를 

뜻한다.

 

어버이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만큼 자식들이 어버이에

대한 '애틋한 마음'도 그럴까?

 

아버지, 어머니! 오늘따라 더욱

그립습니다.

오늘 밤 저의 꿈에라도 오셔서

좋아하시던 따끈따끈한 곰탕

한 사발 맛있게 드시옵소서!

이 불효자(不孝子)는 답답한

가슴 쓸어안고 얼마남지 않은

소풍나온 길 겨우겨우 숨쉬며

걸어가고 있습니다.

*****************************

      *친(親)의 네 가지 뜻*

1. 친할 친,  가까울 친 

                親密(친밀)

2. 어버이 친 

      親(엄친), 親(자친)

      兩親(양친), 親(선친)

3. 몸소 친,  친히 친

                親書(친서)

4. 친척 친   親戚(친척)

 

         <글쓴이 Note>

어버이날 앞두고 어버이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곱씹고 또 곱씹어 보았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04 방점(傍點) 2023.11.13 113
203 배롱나무 (I) 2023.09.22 83
202 배롱나무(2) 2023.09.25 63
201 백척간두(百尺竿頭) 진일보(進一步 ) 2023.10.20 53
200 버무리 2024.04.13 121
199 번개도 아닌 것이 2023.10.13 61
198 법망(法網)은 촘촘하건만 2023.10.01 66
197 벗 - 단상斷想 - 2024.02.16 121
196 벗이여! 가을을 보내노라 2023.10.07 157
195 별빛 타고 2024.05.23 136
194 병서(兵書) 삼략(三略) 2023.10.16 61
193 병서(兵書) 육도(六韜 ) 2023.10.16 63
192 보릿고개의 묵정밭(菑) 2023.09.29 83
191 봄꽃들의 향연饗宴 2024.03.07 137
190 봄나들이(DICA 詩) 2024.01.06 117
189 봄놀이 가자스라 2024.04.05 128
188 봄의 전령사(傳令使) 2023.09.25 61
187 분수噴水 2024.02.11 148
186 불두화佛頭花 2024.03.30 116
185 불두화佛頭花를 위로慰勞 2024.04.26 133
이전 1 ... 3 4 5 6 7 8 9 10 11 12...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