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친(親) 단상(斷想)

이한기2024.05.07 13:19조회 수 147댓글 0

    • 글자 크기

           친(親) 단상(斷想)

                                          淸風軒

 

한자(漢字) 친(親)의 파자(破字)는

립(立), 목(木), 견(見).

'나무에 올라서서 본다'는 뜻(?).

우견(愚見)으로는 한자(漢字)를

구성(構成)하는 육서(六書) 중의

하나인 '회의(會意)에 해당'(?)

되는 것 같다.

 

해 저무는 저녁에 저녁밥 준비를

다 마친 어머니가  5리(里)길

재너머 밭을 하루 종일 땀흘리며 

갈고 돌아올 아들에게 더 따뜻한

밥을 먹게 하려고 나무 위에 올라

아들이 어디쯤에나 오고 있는지

바라보는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담아낸 것이리라

 

그래서 자식들에게 애틋한 마음을

갖고 있는 아버지를 부친(父親),

어머니를 모친(母親)이라 하는가

보다.

한자(漢字) 친(親)은 '어버이'를 

뜻한다.

 

어버이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만큼 자식들이 어버이에

대한 '애틋한 마음'도 그럴까?

 

아버지, 어머니! 오늘따라 더욱

그립습니다.

오늘 밤 저의 꿈에라도 오셔서

좋아하시던 따끈따끈한 곰탕

한 사발 맛있게 드시옵소서!

이 불효자(不孝子)는 답답한

가슴 쓸어안고 얼마남지 않은

소풍나온 길 겨우겨우 숨쉬며

걸어가고 있습니다.

*****************************

      *친(親)의 네 가지 뜻*

1. 친할 친,  가까울 친 

                親密(친밀)

2. 어버이 친 

      親(엄친), 親(자친)

      兩親(양친), 親(선친)

3. 몸소 친,  친히 친

                親書(친서)

4. 친척 친   親戚(친척)

 

         <글쓴이 Note>

어버이날 앞두고 어버이의

자식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곱씹고 또 곱씹어 보았다.

 

 

    • 글자 크기
병서(兵書) 삼략(三略) (by 이한기) 분수噴水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친(親) 단상(斷想) 2024.05.07 147
45 분수噴水 2024.02.11 148
44 겸손(謙遜) 2 2024.05.12 148
43 정의(定義)의 배리(背理) 2024.05.16 148
42 이 여인에게 은총(恩寵)을 2023.11.11 149
41 후회(後悔)(2) 2023.11.17 149
40 시詩와 시인詩人 2024.04.25 149
39 Merry X-mas! 2023.12.25 150
38 잔디밭에서 2024.04.22 151
37 이팝나무 꽃길 2024.05.06 151
36 삼각형(三角形) 2023.11.23 153
35 승화昇華한 봄의 인연因緣 2024.02.18 154
34 홍시(紅柹)타령 2023.11.24 155
33 거시기 단상(斷想) 2023.12.19 155
32 반달(半月) 2023.11.20 156
31 벗이여! 가을을 보내노라 2023.10.07 157
30 겨울의 전령사(傳令使) 2023.11.03 157
29 어머니, 감사합니다 2024.05.10 157
28 송(送), 2023년! 2023.12.29 158
27 오직 그분만이 아신다 2024.05.17 16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