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삶, 이별, 죽음- 인도 록파족

관리자2024.04.15 16:48조회 수 16댓글 0

    • 글자 크기

 

 

 

 

삶, 이별, 죽음  - 인도 록파족

 

 

인도의 수도 뉴델리에서 나흘을 자동차로

꼬박 달려서 도착한 인도의 서북부의 히말라야.

 

자동차 길로는 세계에서 두번째로 높다는 해발 5360m 의 타그랑 고개.

지대가 높아 아무것도 자랄 수없고 산소가 적어 숨쉬기도 힘든 언덕 너머에

2000년동안 이곳을 지켜온 부족이 있다.

 

영하40도의 날씨를 견디도록 집은 돌로 쌓았는데 록파족은 겨울철인 10월에서 3월까지만

이곳에서 생활하고 나머지의 반년은 자그만치 12번이나 가축들을 몰고 풀을 찿아 떠돈다.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그들.

의식주 모두가 열악하기 짝이없다.

 

3월말 봄이되면 그들은 가축의 방목을 위해 겨울을 보낸 돌집을 나선다.

 

남자들을 이삿짐을 싸고 여자는 가는 도중 먹을 음식을 마련라는데

시아버지인 78살의 노인은 성치못한 몸을 지팡이에 의지한채 시무룩하다.

 

물이 있는 다른 정착지까지는 대략40-80km, 움직임이 더딘 고산지대여서

사흘을 꼬박 걸어야한다.

 

하지만 팔순을 바라보는 노인은 오늘 가족과 함께 떠나지 않는다.

이젠 너무 늙어 몇일씩 걷기에는 힘이 부치기 때문이다.

 

세월을 이길 수없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공평한 자연의 순리.

자식들은 노인을 위해 혼자지낼 텐트와 두툼한 옷을 준비한다.

 

 

버터차와 밀가루빵등…. 한달치 식량을 두고 떠나는데, 다시 돌아왔을 때 

노인이 살아있으면 또 한달치를 마련해 준다고 한다.

그러나 결코 한달을 넘게 살 수있는 형편은 아니었다.

 

이 고독한 죽음의식은 노인과 가족간의 타협이 아니다.

힘든 이동을 거듭해야하는 고산지대의 오랜 풍습으로 노인 스스로의 결정과

가족들의 수긍이 만든 고립이고 헤어짐이다.

 

손자에게 마지막 차를 대접받는 노인은 착잡한 표정을 짓고

아들과 손자는 울음을 삼킨다.

 

정든 사람과의 이별을 두고, 18 살의 손자가 울음을 터뜨리자

52 살의 아들도 걸음이 휘청거린다.

 

긴 인연에 비해 짧은 이별, 노인은 모든 걸 마음으로 받아들인다.

 

심경을 묻는 기자에게, ” 나도 27년전에 아버지를 이렇게 이별했다.

자식들을 탓하지 않는다. 행복하기만 빌 뿐이다.“

라고 노인은 담담히 말한다.

 

가축들을 앞세우고 멀어져 가는 자식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노인응 자리에 눕는다.

무거운 정적이 내려 앉는다.

 

몸을 티베트 말로 ‘ 루’라고 하는데 이 말은 두고 가는 것이라는 뜻이다.

 

이들은 평생 떠남에 익숙하다. 헤어짐도 마찬가지다.

생명이 남아있는 부모를 저승으로 보내는 것도 이승의 인연으로 받아들인다. ”

 

“ 죽음을 배우라 그래야만 삶을 배울것이다.”

 

상대가 의식은 있으나 말을할 수없을 떄

이 세상에서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을 한 적이있는가?

 

좋은 추억이 많을 수록……

같이 어려움을 헤쳐 나왔을 수록…….

감사함이 사무치게 많을수록…….

이별은 더 어렵다.

세월이 흘러도 못하는 수도있다.

 

이 모든 남의 이야기가 바뀌어 나의 이야기가 될때 

부디 좋은 추억으로 남기를 바란다.

 

여호와여 나의 종말과 연한의 어떠함을 알게하사 

나로 나의 연약함을 알게 하소서.                 

 

  시 39:4

 

 

2024년 4월 15일 월요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0 어머니 - 용혜원- 관리자 2024.02.19 7
479 당신이 원하신다면 - 기욤 아폴리네르- 관리자 2024.02.22 7
478 Mount Rushmore National Memorial South Dakota 관리자 2024.03.13 7
477 지금 읽으면 좋은 봄 시 관리자 2024.03.27 7
476 [축시] 촛불잔치 -박달 강희종- 관리자 2024.04.04 7
475 아무 꽃 - 박 재하- 관리자 2024.04.08 7
474 [태평로] 김혜순 시인이 세계에 쏘아 올린 한국詩 관리자 2024.04.10 7
473 Mercedes-Benz Stadium 축구장에 다녀왔습니다 관리자 2024.04.14 7
472 친구야 너는 아니? - 이 해인- 관리자 2024.04.16 7
471 권오석 씨, 조지아대한체육회장 연임 관리자 2024.04.18 7
470 4월의 노래 - 박 목월- 관리자 2024.04.22 7
469 아내와 나 사이 - 이 생진- 관리자 2024.05.02 7
468 쑥스러운 봄 - 김병중- 관리자 2024.05.03 7
467 '오씨 집안에 시집간 딸에게 시를 보내다 관리자 2024.05.05 7
466 제1회 김재윤문학상 제정...제주 초·중학생 시(詩) 공모 관리자 2024.05.09 7
465 2024년 5월 11일 스와니서 아시안 문화축제 열려 관리자 2024.05.11 7
464 어머니가 그립습니다 관리자 2024.05.11 7
463 어머니에 관한 시 모음 3 관리자 2024.05.13 7
462 하버드 대학 (Harvard University 관리자 2024.05.17 7
461 2024년 5월 22일 세상 떠난 신경림 시인의 ‘가난한 사랑 노래’ [고두현의 아침 시편] 관리자 2024.05.27 7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