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반드시 피해야 할 7가지 대화 형태

이한기2024.02.24 14:08조회 수 22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반드시 피해야 할 7가지

대화 형태         

 

 

 오늘날 인간 관계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것은 <대화의 빈곤>이 아니라 <바르지 못한 대화>일

것입니다. 

이런 말이 있습니다. 

"사랑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의사 소통이 열려 있고, 사랑이

식은 바르지 못한 대화에

반드시 의사 소통이 막혀 있다."

 

 우리가 피해야 할 바르지 못한

대화의 형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격렬한 화약 같은 말

다음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당신은 늘 그래!"

"똑바로 좀 들어!"

"이제는 당신 좀 변해!" 

이런 식으로 불 같이 말해서

문제를 확대시킵니다. 

자신의 말이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 줄을 항상 본인이 알면서도 그 말을 멈추지않습니다. 이런 말을 자주

하는 사람과는 대화를 하고 싶지

않게 됩니다.

 

2. 침묵

 침묵은 의심, 혼동, 추측, 경멸,

무관심, 냉정함을 상대방에게

전합니다. 

침묵 속으로 빠지지 말고,

험한 말로 남을 침묵 속으로

빠뜨리지 마십시오.

 

3. 실망시키는 말

"어린애도 너보다는 낫겠다." 

상대방의 잘못을 인식시키겠다는 의도로 이런 말을 하지만 이런

말은 태도 변화를 이끄는 데

가장 부적합한 말투입니다. 

처음에는 약간의 효과가 있어

보이지만 나중에는 그 말을 아 귀담아 듣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작중요한 말을 할 때도 '녹음기 틀어 놓은 말'로 무시해 버립니다.

 

4. 빗대어 하는 말

자신의 생각을 말하면서도 남의

이야기인 것처럼 남을 끌어들여

말합니다.  선한 얘기는 그렇게

해도 좋지만나쁜 얘기는 그렇게

하면 안 될 것입니다.

 

5. 방어적인 말

불편한 말을 들었다고 대뜸

맞대응해서 짜증 섞인 말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부류의 사람은 상대방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 부족한

사람입니다.

 

6. 감정 섞인 말

 큰 소리, 화난 소리, 격렬한 소리, 극적인 소리도 좋지 않습니다. 

그것은 감정의 솔직한

반영이라기보다는 대화의

주도권을 잡으려는 나쁜 획책으로

보여집니다.

 

7. 너무 말을 많이 함

사람들이 말을 많이 하는 이유는 

다른 사람을 지배하고 분위기를

장악하려고 하거나 자신의

분노와 좌절을 그런 식으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도 이중적 의미를 지닌 말, 미덥지 못한 눈빛, 가로채는 말,

분별없는 말, 경청하지 못하는

태도 등을 피해야 합니다. 

서로 아름다운 말로 아름다운

인간 관계는 더 끈끈하게 될것이다.

 - 옮긴글 -

 
    • 글자 크기
반달 - 동요 (by 관리자) 밥풀 - 이 기인- (by 관리자)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4 문예감성이 배출한 김봄서 시인 파키스탄 진출 관리자 2024.02.21 1
333 문인과의 차 한 잔 ⑤ ‘불가능’의 詩學을 탐구하는 시인 이성복 관리자 2024.01.02 10
332 문장작성文章作成 명名 글귀 이한기 2024.02.03 39
331 문정영 시인 초청 문학특강2 강화식 2022.06.06 51
330 문학평론가 유성호( 문학축제 강사) 영상 특강2 keyjohn 2022.02.26 49
329 미국해군의 항공모함 이한기 2024.02.28 33
328 미라보 다리 -아폴리네르- 관리자 2024.04.14 21
327 민들레 홀씨 / 조광현 이한기 2024.04.04 14
326 민심(民心)은 천심(天心) 이한기 2024.06.07 20
325 민족대표 한용운 선생… '님의 생가'를 찾아서 관리자 2024.01.26 6
324 바람과 햇살과 나 - 시바타 토요- 송원 2024.03.03 13
323 바람이 오면 - 도종환- 관리자 2024.02.11 7
322 바보같은 삶- 장기려 박사님의 삶 관리자 2023.12.03 7
321 바이든 대통령 취임 축시해설 특강1 keyjohn 2021.04.16 44
320 반갑습니다 석정헌 2023.04.10 140
319 반달 - 동요 관리자 2024.03.16 3
반드시 피해야 할 7가지 대화 형태 이한기 2024.02.24 22
317 밥풀 - 이 기인- 관리자 2023.12.17 11
316 방송중학교 다니며 시집 펴낸 팔순 할머니 “황혼길 아름답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관리자 2024.01.10 6
315 밭고랑 위에서/김소월 이한기 2024.04.01 1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29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