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나이 별칭(別稱) 1

이한기2024.02.05 15:06조회 수 45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나이 별칭(別稱) 1

 

 

*15세만(14세)

지학(志學)

지우학(志于學)

배움에 뜻을 둔다

공자(孔子)의 논어(論語) 

 

*16세(만15세)

파과破瓜

과(瓜)를 비스듬히 자르면 

팔(八)자를 두 개

잇대어 쓴 것처럼 된다.

(8+8 = 16, 8×2 = 16)

 

*20세(만19세)

약관(弱冠)

약(弱)은 20세를 이른다.

  이 때 비로소 갓을 쓴다

- 예기(禮記) 곡례(曲禮) -

 

*30세(만29세)

이립(而立)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공자(孔子)의 논어(論語)  

 

*32세(만31세)

이모(二毛)

서른 두 살에 머리털이 

반백(半白)이 된

진(晋)나라 반악(潘岳)이 

쓴 글

二毛 : 흰머리털과

검은 머리털

 

*40세(만39세)

불혹(不惑)

사십이불혹

(四十而不惑)

 40이 되니  사리판단이

혼란을 일으키지 않는다

 

*48세(만47세)

상년(桑年)

상(桑)의 속자(俗字)인

상(桒)의 파자(破字)는

十十十十八 

십(十)이 네개(40),

팔(八)이 하나(8)

즉 (40+8 = 48)

 

*50세(만49세)

1.지천명(知天命)

2.지명(知命) 

하늘의 명(命)을 알았다

3.애년(艾年)

흰 약쑥(艾)처럼

머리털이 희어진다

 

*60세(만59세)

이순(耳順)

    1.비로소 모든 것을

      순리대로 이해한다.

2.모든 일이 귀에

  거슬리지 않는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3 삶은 고해苦海 이한기 2024.03.06 27
192 Pi(π) Day(3월 14일) 이한기 2024.03.14 27
191 버리면 좋은 것 이한기 2024.03.27 27
190 한식寒食 이한기 2024.04.05 27
189 내 안에 적(敵)이 있다 이한기 2024.06.17 27
188 명언(名言) 이한기 2024.06.17 27
187 중요(重要)한 것 이한기 2024.01.14 28
186 장 - 윤동주- 관리자 2024.02.29 28
185 사람 사이 공식公式 이한기 2024.03.02 28
184 인생人生 이한기 2024.03.08 28
183 노년 예찬(老年 禮讚)1 이한기 2024.06.17 28
182 Tatacoa Desert In Southern Utah, Canyon de Chelly in Arizona 관리자 2024.02.13 29
181 생의 목표 - 이 해인- 관리자 2024.02.29 29
180 인생의 세 여유(三餘) 이한기 2024.03.25 29
179 음주(飮酒) 이한기 2024.01.18 30
178 뒤집어 보면 이한기 2024.01.26 30
177 연주하는 봄바람/김주윤 이한기 2024.03.02 30
176 그리도 미련이 많은가! 이한기 2024.03.07 30
175 봄을 기다림(待春)/杜甫 이한기 2024.03.21 30
174 영웅본색(英雄本色) 이한기 2024.06.14 30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9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