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언젠가는- 만해 한용운-

관리자2024.01.26 18:30조회 수 14댓글 0

    • 글자 크기

 

 

 

 

 

 

한용운은 본명이 한정옥 (韓貞玉)입니다
본래는 독립운동가 였습니다.

1879년  충남 홍성에서 아버지 한응준 어머니 온양 방(方)씨 사이에 

차남으로 태어나 1944 년 65세에 사망했습니 다.
그가 남긴 유명한 시(詩) 와 재미있는 글이 많은데

 그중 맘에 와 닿는 시 (詩) 한 수(首)를 소개해 드리고져 합니다.

ㅡ 언젠가는 ㅡ

언젠가... 말 못할 때가 옵니다. 
따스한 말 많이 하세요. 

언젠가... 듣지 못할 때가 옵니다. 
값진 사연(事緣), 
값진 지식(智識)
많이 보시고 많이 들으세요 

언젠가... 웃지 못할 때가 옵니다. 
웃고 또 웃고 활짝 많이 웃으세요. 

언젠가... 움직이지 못할 때가 옵니다. 
가고픈 곳 어디든지 가세요. 

언젠가... 사람이 그리울 때가 옵니다. 
좋은 사람 많이 사귀고 만나세요. 

언젠가... 감격(感激) 하지 못할 때가 옵니다. 
마음을 숨기지 말고 마음껏 표현(表現)하고 사세요. 

언젠가... 우리는 세상의 끝자락에 서게 될 것입 니다. 
사는 동안 최선(最善)을 다해 후회(後悔)없는 삶을 살다 가시면 
참으로 좋겠습니다.

그저 물처럼 지혜롭고, 
쉬지않고, 냉정(冷情) 하게 흐르는 인생으로 
늘 웃음 가득한 나날들 되세요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인생
인생은 사람에 따라
차이 (差異)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나 분명(分明)한 것은 오직 하나뿐인
일회적(一回的) 인생(人生)을 살다가
간다는 사실(事實) 입니다.

옛 현인(賢人)들은
우리들의 인생(人生)을
첫째:참되고 진실(眞實) 되게 살고
둘째: 아름다운 삶을 영위(營爲)하며
셋째:보람스러운 삶을 추구(追求)하며 
살라는 답(答)을 주신것 같습니다.

인생의 시작(始作)과 끝!
결국 내가 가져 온 것도
내가 가져 갈 것도 없는 것입니다
다만 주어진 삶속에서
성실하고 착하게 살아가 면서 적당(適當)한 즐거움과 행복(幸福)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
자신의 참다운 인생(人生)을사는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어김없이 겨울이 또
다가 왔습니다
세월(歲月)이 가면
모든것은 놔두고
빈손으로 왔었던 그 자연(自然)으로 다시 돌아가는 인생 입니다
그것이 바로
공수래 공수거(空手來空手去) 인생(人生) 입니다.
따라서 지금 이 시간(時間)이 가장 중요(重要)한 시간(時間)임을 잊지 마시고 
오늘도 더 멋지고 
더 아름답고 
더 행복(幸福)한 인생 여정 (旅程)을 만들어 가는 멋진 하루 되시기를 소망(所望)합니다.

◼️제2의 시(詩)
와서는 가고, 
입고는 벗고, 
잡으면 놓아야 할, 
윤회(輪廻)의 이 소풍길에!!

우린, 
어이타 깊은 인연(因緣)이 되었을꼬!! 

봄날의 영화(榮華) 꿈인듯 접고, 
너도 가고 나도 가야 할, 
저 빤히 보이는 길 앞에, 
왜 왔나 싶어도!

그래도... 아니 왔다면 
많이 후회(後悔) 했겠지요?? 
노다지(언제나)처럼, 
널린 사랑  때문에 웃고, 
가시처럼 주렁주렁 미움 때문에 울어도,

그래도, 그 소풍(消風) 아니면 

우린 어이 정다운 인연(因緣)이,
맺어졌겠습니까?

한 세상, 
살다 갈, 
이 소풍(消風)길!! 
원(怨)없이 울고 웃다가,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더 낫단 말, 빈말이 안 되게 말입니다!!
 
우리, 그냥 어우렁 더우렁, 
그렇게 
더불어 즐기며 살다가, 
미련(未練)없이 소리없이 
그냥 훌쩍 떠나 가십시다요!!

 

 

2024년 1월 26일 금요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0 The Hill We Climb Edited As Normal Sentences1 관리자 2021.04.20 250979
599 테스트1 hurtfree 2015.02.05 13216
598 이- 멜 주소 변경 왕자 2015.08.20 4129
597 띄어쓰기 원칙9 배형준 2018.01.22 817
596 한글 검사5 왕자 2016.09.22 711
595 얼어붙은 눈물.. 정희숙 2018.01.24 640
594 Hong씨 내외 수고! keyjohn 2015.02.11 572
593 시학詩學 입문入門 이한기 2024.02.11 534
592 [조선일보] 글쓰기 구성 전략 '기승전결' 관리자 2019.06.28 437
591 홈페이지에 대한 의견 주세요2 관리자 2015.02.12 408
590 [발행인 레터] 애틀랜타문학회를 만났어요 관리자 2015.02.11 377
589 일본 노인들의 단시 관리자 2024.02.27 346
588 시 창작 초기에 나타나는 고쳐야 할 표현들/도종환3 배형준 2018.01.28 345
587 “어쩌면 시 쓰기가 멈춰지지 않아서”…‘여든’ 나태주 시인의 봄볕같은 고백 [북적book적] 관리자 2024.05.30 307
586 시를 찾아가는 아홉 갈래 길2 배형준 2018.01.28 244
585 양과 늑대의 평화조약 이한기 2024.04.26 240
584 2015년 2월 정기월례회 동영상 보기 관리자 2015.02.09 225
583 홍보부장님1 keyjohn 2015.07.24 208
582 “어쩌면 시 쓰기가 멈춰지지 않아서”…‘여든’ 나태주 시인의 봄볕같은 고백 [북적book적] 관리자 2024.06.06 198
581 나태주 시인의 강의 자료3 강화식 2022.08.04 193
이전 1 2 3 4 5 6 7 8 9 10...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