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Rookie의 푸념 2 -단상(斷想)-

이한기2024.01.10 14:41조회 수 162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Rookie의 푸념 2

 -단상(斷想) -

 

                        淸風軒 

 

나는 지금까지도

시(詩)를 쓰는 흉내를 

내고 있는 Rookie

 

가장 어려운 것 중의

하나라면

단상(斷想)의 틀을 벗어나

시(詩)의 운(韻)과 형식을

따르는 것같다.

수필, 단상(斷想)과

자유시, 서사시를 제외한

통상적인 시(詩)가

다르다면 시(詩)에는

운(韻, Rhyme)이

있다는 것?

 시(詩)를 쓸 때마다

 운(韻)을 따르는 것이

너무너무 어렵다는 것을

절감한다.

 

  또 하나 어려운 것은  

비유법(比喩法)의 

      적절한 사용이라 

생각한다   

열 가지 비유법(比喩法)

가운데서도

 은유(隱喩, Metaphor)에

 너무 집착(執着)하다 

보면 꽈배기처럼 

되어버린다.

  비유의 정도를 잘

조절하는 기교를

   터득해야 하는데

그리 쉽지 않으니

답답하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형용어구

(形容語句, Epithet)를

 과도(過度)하게

남용(濫用)하는 것도

  경계할 일이라 생각한다.

  나는 아직도 형용어구를

   많이 쓰야겠다는

유혹을 뿌리칠 수 없다.

  형용어구를 많이 쓰면

좀 더 멋진 시(詩)라고

생각되니까

 

쥐구멍에도 별들 날이

오기는 올까?

   Rookie의 푸념이다.

 

 

 

2024년 1월 11일 목요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45 하늘나라(天國) 2023.04.09 1198
344 주(主) 승천(昇天) 대축일(大祝日) 2023.10.10 61
343 비탄가(悲歎歌) 2023.05.16 544
342 능소화(凌霄花) 2023.10.09 94
341 빈대떡 타령 2023.05.21 505
340 오행의 상생과 할아버지 2023.07.07 1144
339 죽치고 있어야지! 2023.07.01 392
338 막사발(沙鉢) 2023.09.13 498
337 나그네도 울어 예리 2023.09.14 282
336 가을에는 2023.09.15 224
335 꽃과 씨 사이 2023.09.15 287
334 오작교(烏鵲橋) 전설(傳說) 2023.09.18 305
333 돌아오라, 맑은 영혼아! 2023.09.19 175
332 기쁘지는 않지만 고마운 희수(喜壽) 2023.09.20 143
331 천지조화(天地造化) 2023.09.20 181
330 귀소본능(歸巢本能) 2023.09.21 128
329 얼음 위에 쓴 시(詩) 2023.09.21 167
328 Atlanta에 내리는 겨울비 2023.09.21 146
327 동양과 서양의 뻥치기 2023.09.21 115
326 내 친구 문디~이 2023.09.21 127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