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답설야중거(踏雪野中去)

이한기2024.01.05 09:48조회 수 74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답설야중거(踏雪野中去)

 

                 눈 덮인 들판길을 걸어갈 때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걸음을 흐트러지게 걷지 마라

                  不須胡亂行(불수호란행)

 

                  오늘 남긴 나의 발자국이

                  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

 

              마침내 뒷사람의 길이 되리니

                  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

     

                             - 최여신 -

 

              오언절구(五言絶句)의 시(詩).

            마음에 찡한 울림을 주는 글이다.

                이곳 Metro Atlanta에서는 

        좀처럼 겨울(1월)에 눈내린 들판길을

                       걸어보기 어려운데

                    어릴 적 한국 시골에선

              겨울방학 때(1월) 썰매를 타러

  눈내린 들판길을 걸아가곤 했던 기억이 난다 

           

                          2024년 한 해는

                배려(配慮)하는 마음가짐과

                   걸음걸음 흐트리지 말고

           반듯하게 걸어가기를 다짐해 본다.

               "안으로 마음을 밝히는 것은

                          삼가함(敬)이요

         밖으로 행동을 결단(決斷)하는 것은

                     의로움(義)이다"라는

              남명(南冥) 조식(曺植) 선생의

     경의검(敬義劍)에 새겨진 말이 떠오른다.

 

              1948년 남북협상 길에 나섰던

              백범(白凡) 김구(金九) 선생은

           북위(北緯) 38° 선(線)을 넘으면서

                       이 시(詩)를 읊었다.

                   선생은 하루에 세 번 씩

                이 시(詩)를 낭송(朗誦)하고

                  몸소 실천하였다고 한다.

          선생의 생각과 말과 행동의 일치를

  이루기 위한 굳은 의지(意志)를 엿볼 수 있다.

 

   최여신(崔汝信)/휴정(休靜)(1520~1604).

  평안도 안주 출생. 본관(本貫)은 완산(完山),

       아호(雅號)는 청허(淸虛), 서산(西山).

                    자(字)는 현응(玄應).

         묘향산(妙香山)에서 오래 살았기에

              서산대사(西山大師)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승병장(僧兵將)으로써

                      왜적(倭敵)과 싸웠다.

    임금(宣祖)이 그의 공로를 크게 평가하여

       '국일도대선사선교도덕총섭부종수교

          보제등계존자(國一都大禪師禪敎

     都德摠攝扶宗樹敎普濟登階尊者)'라는

              최고의  존칭(尊稱)을.내렸다. 

유정(惟正)/사명대사(四溟大師)가 그의 제자.                                        

                      종우(宗愚) 이한기

   (미주한국문협 회원, 애틀랜타문학회 회원)

        *Atlanta 한국일보 게재(2024. 1. 5)

 

    • 글자 크기
갑진년 서두 시-희망에는 신의 물방울이 들어있다, 문의 마을에 가서, 여름 가고 여름 (by 관리자) [신간] 하상욱 단편시집 '서울 보통 시' (by 관리자)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9 2024년 5월 11일 스와니서 아시안 문화축제 열려 관리자 2024.05.11 7
138 102세 美참전용사,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식 참석 길에 숨져 관리자 2024.06.07 3
137 포인트는, 요강과 머슴에 있지 않다!! Jenny 2017.11.22 79
136 잠언(箴言) 이한기 2024.05.08 14
135 어머니가 그립습니다 관리자 2024.05.11 7
134 친구야 너는 아니? - 이 해인- 관리자 2024.04.16 7
133 늙어가는 모든 존재는 모두 비가 샌다 송원 2023.12.03 9
132 인생찬가 - 롱 펠로우- 관리자 2024.02.26 24
131 아내가 지킨 수첩에서 46년 만에...박목월 미발표 시 166편 공개됐다 관리자 2024.03.13 4
130 4월의 환희 - 이 해인- 관리자 2024.04.11 6
129 명장(名將) 일별(一瞥)(2) 이한기 2023.12.02 48
128 외명부(外命婦) 이한기 2023.12.06 73
127 할매 언니들이 꽉 안아줬다…불타고, 맞고, 으깨진 시인의 세상을 관리자 2024.01.27 8
126 어느 95세 노인의 수기 이한기 2024.06.15 26
125 탈무드 인맥관리 17계명 관리자 2024.01.14 10
124 분양 받으신 약초중 이외순 문우님 과 장붕익 문우님의 약초 상황입니다 관리자 2024.04.29 1
123 민들레 홀씨 / 조광현 이한기 2024.04.04 15
122 하버드 대학 (Harvard University 관리자 2024.05.17 7
121 갑진년 서두 시-희망에는 신의 물방울이 들어있다, 문의 마을에 가서, 여름 가고 여름 관리자 2024.01.14 9
답설야중거(踏雪野中去) 이한기 2024.01.05 74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9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