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Rookie의 푸념 1 - 단상(斷想) -

이한기2023.12.05 12:45조회 수 130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Rookie의 푸념 1

              - 단상(斷想) -

                                          淸風軒

 

나의 글은 어느 누가 뭐래도

졸작(拙作)이다.

Rookie의 냄새를 풍긴다.

그럴수 밖에---

문단(文壇)에 오른지도 얼마 

되지 않았다.

시상(詩想)이 떠오르면 기라성

(綺羅星)같은 선배들과 '태주'

형께서 말한 것처럼 그것을

토(吐)해내는 흉내를 낸다.

칼로 자르고, 줄로 쓸고, 끌로

쪼으고, 숫돌에 갈기를 되풀이

한다.

이 아둔한 자가 글을 쓰며 느낀

것이 있다면 글을 쓰고 또 쓰는 

것 밖에는 비법(祕法)이 없다는

평범한 사실이다.

소월, 동주, 백석, 목월, 태주,

호승 형(兄)을 비롯 수많은

형들의 시(詩)를 Google에서

아무리 뒤적거려 보아도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Google에 있는 수 천(千)

편의 좋은 시(詩)들을 감상

(鑑賞)한 소감(所感) 한 마디

없이, 간단한 시평(詩評)없이

시(詩)만 딸랑 올려 놓은 경우를

본다.

그렇게 하는 것이 시(詩)를

쓰는데 뭐 그리 도움이 돨까?

올리는 시(詩)들, 관심이 있는

분들은 여러 번 읽어보았던

시(詩)일지도---

내가 급(急)하게 토(吐)해낸 것!

그것이 나의 작품! 비록 졸작

(拙作)일지라도!

나의 보잘것 없는 졸작(拙作)

하나는 형들의 시집(詩集)들

모두보다 귀(貴)하고 귀(貴)한

것이다. 시건방진 소리를 한다고?

형들의 것은 영겁이 흘러도 내

것이 아니다.

내가 토(吐)해낸 나의 것이기에

귀(貴)하고 또 귀(貴)하고

귀(貴)하다.

졸작(拙作)을 쓰는 Rookie가

한 번 해보는 푸념이다.

내 푸념에 대한 나름대로의

생각하는 바는 십인십색

(十人十色)!, 각양각색

(各樣各色)!

 

 

 

 

    • 글자 크기
새벽 마실 (by 이한기) 이순신(李舜臣) 장군(將軍)? - 단상(斷想) -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Rookie의 푸념 1 - 단상(斷想) - 2023.12.05 130
84 이순신(李舜臣) 장군(將軍)? - 단상(斷想) - 2023.12.06 130
83 영웅英雄 2024.04.18 130
82 삿갓논 2023.11.27 132
81 늙은 보리밭 2024.05.31 132
80 속마음(內心) 2023.12.10 133
79 칠정(七情) - 단상(斷想) - 2024.01.03 133
78 한恨뭉치! 2024.02.28 133
77 불두화佛頭花를 위로慰勞 2024.04.26 133
76 홀로 즐기기 2023.10.06 134
75 솔향(香) 그윽한 송원(松園) 2023.11.14 134
74 돈가(豚家)네 2023.11.27 134
73 어디로 흘러가는가! 2024.05.20 135
72 5월의 노오란 장미꽃 2024.05.24 135
71 세월歲月의 무게 2024.04.24 136
70 '0'(零) 2023.12.09 137
69 영迎, 춘흥春興 2024.03.03 137
68 들풀꽃 2024.04.21 137
67 찬송讚頌할지어다! 2024.04.23 137
66 봄꽃들의 향연饗宴 2024.03.07 138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