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행(山行)

이한기2023.12.01 09:43조회 수 58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산행(山行)

 

나를 이끌고 돌(石)길이 자꾸 산(山) 속 깊이

   들어가네

(遠上寒山石徑斜 원상한산석경사)

 

이윽고 흰 구름 이는 곳, 몇 채의 인가(人家)

(白雲生處有人家 백운생처유인가)

 

나는 수레를 멈추고 앉는다. 아, 저녁 햇빛에

   붉은 가을

(停車坐愛楓村晩 정거좌애풍촌만)

 

이월(二月)의 꽃보다 붉은 산(山)에 가득한

   가을!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 두목(杜牧) -

 

칠언절구(七言絶句)의 시(詩). 두목(杜牧)의

시(詩)는 미끈함이 있다고 한다.

구성이나 언어가 빈틈이 없이 꽉 짜여 있다.

언어와 시상(詩想)은 과불급(過不及)이 없는

조화(調和)를 이루었다.

이는 그의 정신(精神)이 균형(均衡)을 지니고

있는데서 오는 것이리라. 균형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그는 표현기술에 있어서는

가(可)히 명수(名手)라 할 수 있겠다.

     이 시(詩)를 소리내어 읽어보면 요즈음

Modernist의 시(詩)를 읽을 때와 같은 쾌감

(快感)을 느낄 수 있을런지도---

 

*두목(杜牧)(803 ~ 852)은 당(唐)나라 후기

    (後期)의 시인. 아호(雅號)는 번천(樊川), 

                     자(字)는 목지(牧之).

 

          - 종우 이한기(미주한국문협 회원) -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3년 12월 1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3 떠도는 자의 노래 - 신 경림- 관리자 2024.01.12 7
192 칼 국수 - 김 종재 - 관리자 2024.01.12 5
191 평상이 있는 국수 집 - 문태준- 관리자 2024.01.12 12
190 국수가 먹고 싶다 - 이상국- 관리자 2024.01.12 5
189 국수 - 백석- 관리자 2024.01.12 10
188 2024 경상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시 - 솟아오른 지하 황주현 관리자 2024.01.11 13
187 개여울 - 김 소월 관리자 2024.01.11 14
186 꽃 - 로버트 크릴리- 관리자 2024.01.10 14
185 술잔을 권하노라 - 우 무룡- 관리자 2024.01.10 12
184 방송중학교 다니며 시집 펴낸 팔순 할머니 “황혼길 아름답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관리자 2024.01.10 6
183 비오는 날의 기도 - 양광모- 송원 2024.01.09 14
182 거리에 소리 없이 비 내리네 - 아르띄르 랭보- 관리자 2024.01.09 17
181 My life has been the poem.... 관리자 2024.01.09 10
180 [하이쿠}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번개를 보면서도 삶이 한 순간이라는 걸 모르다니! 관리자 2024.01.08 16
179 배웅 - 노노족 김상호- 관리자 2024.01.08 9
178 코미디언 양세형, 시인으로 인정받았다…첫 시집 '별의 집' 베스트셀러 기록 관리자 2024.01.08 13
177 그대여서/ 이명길 이한기 2024.01.07 41
176 살아가며 - 노노족 김상호- 관리자 2024.01.07 19
175 겨울 안개 - 안길선 - 이한기 2024.01.06 54
174 세월아 - 피 천득- 관리자 2024.01.06 31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9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