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금선탈각(金蟬脫殼) (1)

이한기2023.10.16 08:41조회 수 58댓글 0

    • 글자 크기

    금선탈각(金蟬脫殼) (1)       

                               淸風軒     

 

차고 뒤, 길 건너 넓은 뜰에

두그루 벚꽃나무 옆에

불청객(不請客)처럼 멀뚱하니

 서 있는 배롱나무 한 그루,

수시로 얇은 껍질을 벗는

나목(裸木)이다.

아침 해 오르기 전, 더덕더덕

일어난 껍질을 벗기고

매끈하게 몸단장을 시켜주는

것으로 나의 일상(日常)을 

시작한다.

 

여느 때처럼 오늘 아침에도

배롱나무의 몸을 단장하는데

금빛 매미 한 마리가

배롱나무를 부둥켜 안고

있는게 아닌가! 살금살금

다가가 눈을 가까이 하니

속이 텅 빈 금빛 매미다.

누가 볼까 부끄러워 아마

캄캄한 어둠속에서 허물을

벗고 날아간 흔적, 아,

금선탈각이다.

 

애벌레(굼벵이)로서 7년을

넘는 인고(忍苦)의 세월을

보내고 껍질을 벗은 후에

수컷은 여름 정취(情趣)를

더해주는 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며 사랑을나눈 후에,

그리고 암컷도 알을 낳은

후에 각각 흙으로

귀향(歸鄕)한다.

참으로 묘(妙)한 삶의

여정(旅程)이네!

 

나는 74년을 밝은 땅 위에서

인고(忍苦)의 세월을

보냈건만 아직도 때묻어

찌든 허물을 뒤집어 쓰고

있으니---

어느 때일런가! 때묻어 찌든

허물 벗어버리고날아오를

날이, 그런 후 잠시 더 땅에

머물다 금선(金蟬)처럼

이 몸은 태초의 본향(本鄕)인

흙으로 돌아가리라. 

조견오온개공照見五蘊皆空!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1년 9월 24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25 돌아오라, 맑은 영혼아! 2023.09.19 175
324 동지(冬至)팥죽 2023.12.22 168
323 얼음 위에 쓴 시(詩) 2023.09.21 167
322 작곡가作曲家에게 2023.11.10 164
321 Rookie의 푸념 단상(斷想) 2 2024.01.10 163
320 아리송한 농민들! 2024.03.09 161
319 오직 그분만이 아신다 2024.05.17 160
318 송(送), 2023년! 2023.12.29 158
317 겨울의 전령사(傳令使) 2023.11.03 157
316 벗이여! 가을을 보내노라 2023.10.07 157
315 어머니, 감사합니다 2024.05.10 156
314 반달(半月) 2023.11.20 156
313 홍시(紅柹)타령 2023.11.24 155
312 승화昇華한 봄의 인연因緣 2024.02.18 154
311 거시기 단상(斷想) 2023.12.19 154
310 삼각형(三角形) 2023.11.23 153
309 이팝나무 꽃길 2024.05.06 151
308 잔디밭에서 2024.04.22 151
307 Merry X-mas! 2023.12.25 150
306 시詩와 시인詩人 2024.04.25 149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