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껌(Chewing Gum)과 혀(舌)

이한기2023.10.15 14:16조회 수 66댓글 0

    • 글자 크기

 껌(Chewing Gum)과 혀(舌)

                                    淸風軒    

 

남녀노소 많은 이들이 껌을

애용한다.

꿈을 씹으면 좋은 점, 턱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하고 뇌

운동도 함은 물론 치아청소와

구취를 다소 없애 주기도 한다.

껌이 입안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약간 굳어 있는

 상태이지만 입안에 들어가면

금새 물렁물렁하게 되어 혀가

마음대로 껌을 부린다.

껌은 불평불만하지 않고

고분고분 혀가 시키는대로

한다. 충복(忠僕)도 이런

충복이 없다.

그러나 혀가 싫증이 나거나

껌이 별로 쓸모가 없다고

생각되어 입 밖으로 뱉어

버리는 순간부터 껌은

골칫덩어리로 변한다.

 

배신(?)을 당함에 대한

끈질긴 앙갚음이 시작된다.

끈적거리며 착 달라붙어

떨어지질 않는다.

값비싼 명품 옷, 신발 바닥,

실내의 대리석 바닥, 사람들

통행이 빈번한 보도, 광장에

착 달라붙어 보기에도

흉하고 떨어지지를 않는다.

 

공동체 생활에서도 혀와

껌같은 사람을 볼 수 있다.

달라붙어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껌같은 사람,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혀같은

사람, 이 두 부류의 사람들

정말 무서운 사람들이다.

혀처럼 아랫사람에게 함부로

대하다가 껌같은 사람에게

이름이 더럽혀진 사람들

적지않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의 속은 모른다." 

금언(金言) 중의 금언이다.

 

 산마루의 돌이 자고나니

골짜가의 개울 바닥에

나뒹굴기도 한다.

 옛 선현의 말,

" 영원한 것은 없다.

다만 영원한 것이 없다는

사실만이 영원하다."

 

  윗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아랫 사람의 인격을 존중

하세요!"

"항상 윗자리에 있는 게

아닙니다. 내려 올 때가

있어요!"

"아무 곳에나 껌 뱉지 마세요!"

"위에 있을 때 잘 할 걸!

후회한들 때는 늦어요!" 

서제막급(噬臍莫及)!

 

*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12년 11월 5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25 아름답다는 이유만으로 2023.09.27 58
224 아늑한 방(房) 하나를 2023.09.28 60
223 아, 가을이 왔나 봐! 2023.10.21 56
222 쑤구려! 2023.10.27 66
221 싸움(戰爭) 2023.10.07 67
220 신기루(蜃氣樓) 2023.10.14 80
219 시커먼 마음보 2023.10.09 75
218 시인(詩人)은 시(詩)와 함께 2023.11.14 125
217 시월의 끝자락에서 2023.10.30 72
216 시詩와 시인詩人 2024.04.25 149
215 시詩를 짖지 않으면 2024.02.01 111
214 시詩 한 편篇 -단상斷想 - 2024.03.20 125
213 승화昇華한 봄의 인연因緣 2024.02.18 153
212 숨어버린 젊음 2023.09.21 107
211 수저(匙箸) 타령 2023.11.07 100
210 수수꽃다리 2024.04.16 145
209 수굼포 2023.10.27 59
208 송축(頌祝), 성탄(聖誕)! 2023.09.29 51
207 송(送), 2023년! 2023.12.29 158
206 송(送), 2022년! 2023.09.23 78
이전 1 ... 2 3 4 5 6 7 8 9 10 11...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