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우짜든동

이한기2023.10.13 20:14조회 수 75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우짜든동

                                       淸風軒      

밥은 문나?

우짜든동, 지 때 챙겨무래이!

네, 어무이!

 

아푼데는  없나?

우짜든동, 고뿔 안들게 하거래이!

네, 어무이!

 

방은 따시나?

우짜든동, 따시게 지내거래이!

네, 어무이!

 

네, 어무이도

우짜든동, 단도리 단디이 하이소!

 

한 마다 말로

사랑을 담아낼 말

우짜든동!

 

어머니와 아들 사이

진한 사랑이 녹아든 말

우짜든동!

더 이상은 없지롱!

 

<글쓴이 Note>

*우짜든동 : 어쨌던지.

*밥은 문나? : 밥은 먹었나?

*지 때 : 제 때.

*따시나 : 따뜻하나.

*단디이 : 단단히, 야무지게.

 새재(鳥嶺) 이남 지방의 사투리.

    

*경북 문경 새재(鳥嶺) 이남 지방을 

 영남(嶺南), 전북 김제의 벽골제

 (碧骨堤) 이남 지방을 호남(湖南),

 충북 제천의 의림지(義林池) 서쪽

 지방을 호서(湖西), 강원도 평창과

 강릉을 잇는 대관령(大關嶺) 동쪽

 강원도지방을 영동(嶺東) 및 관동

(關東)지방, 대관령 서쪽 강원도

지방을 영서(嶺西)지방이라고 함은

모두가 아는 바이다.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25 꽃눈(花雪) 2024.03.22 120
224 아지랑이(嵐) 2024.03.12 120
223 삼일절 - 삼행시 - 2024.03.01 120
222 오늘은 기적(奇蹟)! 2024.06.08 119
221 하얀 낙하산의 부생 2024.04.05 119
220 고고성呱呱聲 2024.03.22 119
219 삼지창(三枝槍)  SAGUARO             2024.02.15 118
218 야반도주한 금선의 흔적(DICA 詩) 2024.01.06 118
217 곰(熊) 모녀(母女) 2023.12.01 118
216 경칩驚蟄 2024.03.05 117
215 고향故鄕의 가락 2024.02.13 117
214 춘몽(春夢)이여! 2024.01.16 117
213 봄나들이(DICA 詩) 2024.01.06 117
212 Quo vadis, Domine 2024.01.08 117
211 불두화佛頭花 2024.03.30 116
210 우주(宇宙) 2024.01.29 116
209 붕우유신(朋友有信)의 표상(表象) 2023.12.03 116
208 평화통일(平和統一) 2023.12.01 116
207 혜풍惠風 2024.04.07 115
206 구름 같은 도道 2024.04.03 115
이전 1 ... 2 3 4 5 6 7 8 9 10 11...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