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추모! 시인 김남조(金南祚) 선생

이한기2023.10.12 12:03조회 수 89댓글 0

    • 글자 크기

              추모(追慕)!

 시인(詩人) 김남조(金南祚)

              선생(先生)

                                  淸風軒

 

2023년 10월 10일, 쌍(雙) 10인

가을날, 이 날, 시를 쓰는 모든

사람들은 시문학계(詩文學界)의

거장(巨匠)인 큰 별을 잃었다.

 

시인(詩人) 김남조(金南祚)

선생(先生)!

대한민국 시문학계에 큰 족적

(足跡)을 남기시고 별세(別世),

향년(享年) 96세.

 

평소 님의 시를 사랑하고 인품을

존경하였고 동향인(同鄕人)이라

내가 갖고있는 긍지(矜持) .

남달랐었는데-----

늘 단정했던 모습, 어머니를

뵙는 것 같았는데---

저의 어머니보다 2년 늦게 이

세상에 오셨다가 3년 더 이

땅에 머물면서 우리에게 큰

사랑을 주고 가신 선생! 

 

더 이상, 님의 새로운 시를

만날 수 없으니 애석(哀惜)하기

그지없다. 

인생족별리(人生足別離)라

했던가! 님의 큰 족적(足跡)

영원하리라

이제는 천국(天國)에서 복락

(福樂)을 누리소서!

 

<글쓴이 Note>

*김남조

(1927. 9. 25 ~ 2023. 10. 10).

대구 출생, 대한민국 시인,

대학교 교수.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역임.

숙명여자대학교로부터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활동기간은 1950년부터

2023년까지 73년간이었다.

1,000여 편의 시를 쓰고

19 시집을 내었다.

가장 많은 주제(主題)는

"시랑"이었다.

 

*선생(先生)

학문적으로나 덕망(德望)

높은 사람, 혹은 사회적으로

존경받을 만한 위치의 사람, 

학예(學藝)가 뛰어난 사람, 

관청(官廳)과 관아(官衙)에서 

전임자를 가리키는 존칭

(尊稱), 경칭(敬稱).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45 하조대(河趙臺) 2023.11.01 86
144 명칭(名稱) 타령 2023.10.05 83
143 보릿고개의 묵정밭(菑) 2023.09.29 83
142 배롱나무 (I) 2023.09.22 83
141 가장 부러운 사람 2023.10.10 82
140 88까지 팔팔하게 2023.09.29 82
139 Monument Valley 2023.10.15 81
138 나그네 2023.09.22 81
137 신기루(蜃氣樓) 2023.10.14 80
136 옆지기 2023.10.08 80
135 동래불사동(冬來不似冬) 2023.10.30 79
134 이제, 숨어야 해! 2023.10.13 79
133 겨울 망향(望鄕) 2023.09.23 79
132 먹이 일별(一瞥) 2023.10.23 78
131 아직은 때가 아냐! 2023.10.05 78
130 송(送), 2022년! 2023.09.23 78
129 머릿속의 사진(寫眞) 한 장 2023.10.24 77
128 산(山)풀꽃 2023.09.29 77
127 참으로 날로 새롭게 2023.09.23 77
126 생각하는 장교(將校) 2023.10.17 75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