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이한기2023.10.09 14:20조회 수 107댓글 0

    • 글자 크기

사람은 죽어서 이름(名)을 남긴다

                                        淸風軒 

      

이 땅에 살아 있었던 동안에는 

핍박(逼迫)과 고난(苦難)을

받았다 

나라 구하기 위한 싸움에서

장열한 순국(殉國)을 한 후엔

영예(榮譽)와 추앙(推仰)을

받고 있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의

이름(名)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

(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정일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

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議政府) 영의정(領議政)

겸(兼) 영경연(領經筵), 홍문관

(弘文館), 예문관(藝文館),

춘추관(春秋館), 관상감사

(觀象監事), 덕풍부원군

(德豊府院君),

시(諡) 충무(忠武)"

이보다 더한 이름을 남길 수 

있을까?

 

신하로서는 최고(最高)의

위(位). 순국후 수백년 뒤 

이순신의 이름

맑다, 높다, 거룩하다,

영원하다

 

우주를 품은 한 티끌,

한 여린 사람, 나라와

겨레를 구하였다

이보다 더 할 수는

없다

불세출(不世出)의

초인(超人)!

 

<글쓴이 Note>

* 이순신(李舜臣)

   (1545. 4. 28 ~ 1598. 12. 16)

   본관(本貫)은 덕수(德水),

   아호(雅號)는 덕암(德巖),

   기계(器溪), 자(字)는

   여해(汝諧), 시호(諡號)는

   충무(忠武)다.

   한성(서울)에서 출생, 경남 남해

   노량에서 순국하였다.

   남해대교를 지나 남해읍으로

   들어가는 국도 옆에 공(公)의

   위국헌신(爲國獻身), 숭고한

   충절(忠節)을 기리는 충렬사

   (忠烈祠)가 있다.

   

   31세에 무과(武科)에 급제

   (及第), 벼슬은 정이품

   (正二品) 정헌대부

   (正憲大夫) 삼도수군통제사

   (三道水軍統制使)에

   이르렀다.

   유택(幽宅)은 충남 아산

   현충사. 

 

*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

    임진왜란, 정유재란에서

    나라를 구한 일등공신

     (一等功臣).

 

* 공(公)의 자(字) '여해(汝諧)'

   옛 중국의 6경(經) 중

   제1경(經)인 시가집

   (詩歌集)인 시경(詩經)에

   나오는 말.

   "너(汝)로 인하여 이 세상이 

     화평(和平)(諧)케 되리라"는

     뜻.

 

* 삼도(三道)

   지금의 충청남북도(충청도), 

               전라남북도(전라도),

               경상남북도(경상도).

 

* 우리나라 역사상 임금으로

   부터 '충무(忠武)'라는

   시호(諡號)를 받은 무관

   (武官)은 12명이었다.

    •고려시대(3명)

           최필달, 박병묵, 지용수.

    •조선시대(9명)

           조영무,  남 이,  이순신,

           김시민,  이 준,  이수일,

           정충신, 구인후, 김응하.

 

    • 글자 크기
사라진 우주宇宙 사랑(愛)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85 불초(不肖) 문안 올립니다 2023.10.21 52
184 붕우유신(朋友有信)의 표상(表象) 2023.12.03 116
183 비 오는 달밤에 2023.10.06 66
182 비익조(比翼鳥) 2024.05.21 129
181 비탄가(悲歎歌) 2023.05.16 544
180 빈 틈 2024.04.09 123
179 빈대떡 타령 2023.05.21 504
178 사라진 우주宇宙 2024.05.03 141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2023.10.09 107
176 사랑(愛) 2023.10.06 71
175 사모곡(思母曲) 2023.09.25 62
174 사소些少한 것에 - 단상斷想 - 2024.04.12 108
173 사유(思惟) 2023.09.27 53
172 사이비似而非 2024.03.07 123
171 사칙연산(四則演算) 2023.10.15 61
170 산(山)풀꽃 2023.09.29 77
169 살인한파(殺人寒波) 2024.01.16 109
168 삶, 그 저물녘에서 2023.10.11 91
167 삼각형(三角形) 2023.11.23 153
166 삼인삼색(三人三色) 2024.02.15 110
이전 1 ... 4 5 6 7 8 9 10 11 12 13...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