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후회(後悔)(1)

이한기2023.09.29 17:45조회 수 72댓글 0

    • 글자 크기

                       후회(後悔)(1)

                                              淸風軒      

 

빛과 어둠의 궤적(軌跡)인 세월이

한 해의 허리를 반(半)으로 접었다

늘 하듯이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본다

 

일상의 소소한 기쁨이

어디서 오는지 그냥 지나친다

아둔한 자는 지나고 나서야 알았다

어느 누군가의 사랑과 헌신임을

 

우리는 총(銃)알을 모른다

총구(銃口)를 떠난 총알이

인생의 여정이라는 것 조차

 

햇빛, 달빛, 별빛의 무늬인

인생 여정이 휙 지나고 나서야

아차하며 무릎을 친다

 

후회(後悔)없는 인생이 어디 있으랴

우리는 태초에 그렇게 지음받은

만유(萬有)가운데 한 티끌이 아니던가

 

<글쓴이 Note> 

옛 사람들은 하늘의 삼광(三光)

(햇빛, 달빛, 별빛)이 골고루 잘

비칠 때 세상이 평안하다고 믿었다

해(日), 달(月), 별(星)은 천문(天文),

산천초목(山川草木)은 지문(地文),

시(詩), 글, 예악(禮樂)은 인문(人文)

이다. 문(文)은 도(道)를 싣는

그릇이다. 인문이 그 도를 얻으면

해, 달, 별이 순조롭게 행하고 만물이

골고루 잘 다스려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늘의 삼광은 이 우주의

질서이자 인간의 희망이다.

인문이 도를 얻지 못하여 삼광이

순조롭지 못하기에 후회를 하는

것인지도---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3년 6월 30일)

 

 

    • 글자 크기
세상, 다 그런거지! 고운 임의 절규(絶叫)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24 시커먼 마음보 2023.10.09 75
123 영물(靈物)들의 속내 2023.10.07 75
122 전몰(戰歿) 무명용사(無名勇士)들의 충렬(忠烈)을 기린다 2023.10.18 74
121 문(門)과 문(門) 사이 2023.09.29 74
120 하도 더워서 2024.06.17 73
119 황금비(黃金比) 2023.10.18 73
118 경건한 봄의 화음 2023.09.29 73
117 이 새봄에는 2023.09.23 73
116 시월의 끝자락에서 2023.10.30 72
115 응어리 진 상처(傷處) 2023.10.13 72
114 세상, 다 그런거지! 2023.10.12 72
후회(後悔)(1) 2023.09.29 72
112 고운 임의 절규(絶叫) 2023.09.24 72
111 허수아비 2023.10.14 71
110 사랑(愛) 2023.10.06 71
109 귀뚜리, 저 귀뚜리 2023.09.24 71
108 절규(絶叫)하는 물방울들 2023.09.23 71
107 회상(回想) 그리고 바람(希望) 2023.09.23 70
106 개떡 타령 2023.10.30 69
105 자빠졌네! 2023.10.28 6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