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정희
- 비올라 연주자
- 애틀랜타 문학회 회원

어머니와 꽃수레

송정희2017.05.21 18:22조회 수 18댓글 0

    • 글자 크기

어머니와 꽃수레( 수필)

 

어머니가 미국 와계시던 육개월.

아침에 산책을 못하면 저녁에라도 꼭 함께 동네주위를 두시간 정도씩 산책을 했다.

유난히 식물을 좋아하시는 어머니. 꽃이든 잎이든 그냥 지나치시는 법이 없으신 분.

감탄사도 어찌 그리 다양하게 구사하시는지...

빨간색도 핏빛같다, 불그족족하다, 불그스레하다, 새빨갛다, 붉다, 발그레하다,연지빛이다,등등

어머니와 같은 길을 매일 걸어도 늘 새로운 길을 걷는것 처럼 신기하다.어머니는 단어의 마술사이시다.

두시간을 거의 걸어 집으로 오는 길에 집근처 어느 집 앞에 꽃수레 같은 작은 나무수레가 있는데 계절마다 다른 꽃이나 작은 관목을 그 안에 넣어두곤 한다.

어머닌 그 수레를 보실때마다 저건 왜 안 치워. 하시며 역정을 내신다.

나름 장식하느라 때때로 다른 색으로 페인트칠을 해서 내가 보기엔 예쁜 수레인데.

이유인 즉슨.

가난한 세월과 전쟁의 시대를 겪으신 어머니는 시체도 많이 보셨다고 한다. 상여를 태울 수 없이 가난했던 사람들이나 전쟁에서 죽은 적군과 아군의 시체들은 그런 손수레에 실려 가마니로 덮어 시신처리장으로 보내지곤 했다고.

내 눈엔 작고 예쁜 손수레.

어머니의 눈엔 송장을 실어 나르는 구루마.

그제서야 왜 어머니가 그 집앞의 작은 꽃수레를 쳐다보기도 싫어 하셨는지 이해가 되었다.

가난한 사람들의 운반도구 손수레

나 어렷을 적 큰가위를 째깍거리며 동네를 누비던 엿장수의 손수레

높은 언덕위의 집에도 연탄을 운반했던 손수레

행상인의 보따리를 실어나르던 손수레

학교앞 오뎅과 호떡을 팔던 추억의 손수레

때론 죽은이를 태워 나르던 손수레였다.

어머니의 동네친구 꽃순이도 그 손수레에 실려 어디론가 묻힐곳으로 갔던 전쟁통.

어머니가 안계신 지금도 난 그 집앞 꽃수레를 보면 그닥 예쁘지만은 않다. 이제..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856 꿈에 2020.03.13 21
855 오늘의 소확행(3월9일) 2020.03.11 21
854 바람의 세상 2020.03.07 21
853 초승달과 나 2020.02.28 21
852 대박 2020.01.04 21
851 아침풍경1 2019.12.13 21
850 오늘의 소확행(11월4일) 2019.11.08 21
849 오늘의 이상한일 2019.10.31 21
848 가을을 맞아 2019.10.29 21
847 무상 2019.10.24 21
846 황혼에 시작한 그림공부 2019.10.11 21
845 조율 2019.05.14 21
844 2019.05.13 21
843 에스더언니 2019.04.30 21
842 사는것 2019.04.26 21
841 사는 이유 2019.04.26 21
840 노모께 보낸 소포 2019.03.24 21
839 오늘의 소확행(삼일절) 2019.03.03 21
838 나 홀로 집에 8일째 2019.02.15 21
837 한 유명 언론인의 몰락 2019.01.28 2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55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