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정희
- 비올라 연주자
- 애틀랜타 문학회 회원

어머니와 꽃수레

송정희2017.05.21 18:22조회 수 18댓글 0

    • 글자 크기

어머니와 꽃수레( 수필)

 

어머니가 미국 와계시던 육개월.

아침에 산책을 못하면 저녁에라도 꼭 함께 동네주위를 두시간 정도씩 산책을 했다.

유난히 식물을 좋아하시는 어머니. 꽃이든 잎이든 그냥 지나치시는 법이 없으신 분.

감탄사도 어찌 그리 다양하게 구사하시는지...

빨간색도 핏빛같다, 불그족족하다, 불그스레하다, 새빨갛다, 붉다, 발그레하다,연지빛이다,등등

어머니와 같은 길을 매일 걸어도 늘 새로운 길을 걷는것 처럼 신기하다.어머니는 단어의 마술사이시다.

두시간을 거의 걸어 집으로 오는 길에 집근처 어느 집 앞에 꽃수레 같은 작은 나무수레가 있는데 계절마다 다른 꽃이나 작은 관목을 그 안에 넣어두곤 한다.

어머닌 그 수레를 보실때마다 저건 왜 안 치워. 하시며 역정을 내신다.

나름 장식하느라 때때로 다른 색으로 페인트칠을 해서 내가 보기엔 예쁜 수레인데.

이유인 즉슨.

가난한 세월과 전쟁의 시대를 겪으신 어머니는 시체도 많이 보셨다고 한다. 상여를 태울 수 없이 가난했던 사람들이나 전쟁에서 죽은 적군과 아군의 시체들은 그런 손수레에 실려 가마니로 덮어 시신처리장으로 보내지곤 했다고.

내 눈엔 작고 예쁜 손수레.

어머니의 눈엔 송장을 실어 나르는 구루마.

그제서야 왜 어머니가 그 집앞의 작은 꽃수레를 쳐다보기도 싫어 하셨는지 이해가 되었다.

가난한 사람들의 운반도구 손수레

나 어렷을 적 큰가위를 째깍거리며 동네를 누비던 엿장수의 손수레

높은 언덕위의 집에도 연탄을 운반했던 손수레

행상인의 보따리를 실어나르던 손수레

학교앞 오뎅과 호떡을 팔던 추억의 손수레

때론 죽은이를 태워 나르던 손수레였다.

어머니의 동네친구 꽃순이도 그 손수레에 실려 어디론가 묻힐곳으로 갔던 전쟁통.

어머니가 안계신 지금도 난 그 집앞 꽃수레를 보면 그닥 예쁘지만은 않다. 이제..

 

    • 글자 크기
향기 (by 송정희) 허리케인 플로렌스 팔행시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어머니와 꽃수레 2017.05.21 18
255 허리케인 플로렌스 팔행시 2018.09.17 11
254 놀란 에보니 2018.10.29 12
253 혼자 먹는 스파게티 2019.08.18 19
252 뒤척이던 밤이 지나고 2017.08.23 23
251 국화꽃 화분 (2) 2018.09.17 11
250 풍요한 삶 2018.10.29 18
249 오늘의 소확행(1월14일) 2019.01.15 15
248 왜 안오셨을까 2018.10.29 17
247 나 홀로 집에 여섯째날 2019.02.13 16
246 오곡밥과 풀떼기반찬과 사돈 2019.09.13 20
245 손톱을 자르며 2018.08.11 9
244 눈물이 나면 2018.09.18 8
243 오래된 기억들을 보내며 2020.02.05 20
242 비키네 정원 2018.08.11 7
241 피터와 바이얼린 2018.09.18 12
240 아침인사 2020.02.29 27
239 잠자리 2018.08.11 11
238 한가위 밤하늘 2019.09.15 23
237 오늘의 소확행(1월1일) 2020.01.01 16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55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