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영화 '건국전쟁'

이한기2024.04.01 14:21조회 수 110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영화 '건국전쟁'

                               淸風軒          

 

Metro Atlanta에서

영화 '건국전쟁'이

'24년 3월 31일 종영되었다.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께서 광복된 

우리나라를

자유민주주의공화국으로

건국하느라 온갖 어려움과

방해를 극복하고 정성을

다하였다.

누가 뭐래도 존경과 존중을

받아 마땅하다.

내 편이 아니라고 '다름'을

 '잘못'으로 싸잡아

매도하지 말아야 한다.

 

건국을 하는 과정에서

아주 소소하고 중요하지

않은 것부터 아주 크고

중요한 것 까지 하나하나

준비를 해야 하는 어려움과

정신적인 부담감은 경험해

보지 않으면 절감하지 못할

것이다.

한 나라를 세운다는 것,

얼마나 어렵고 힘들었으며

마음의 부담이 컷을까!

옛 선현(先賢)께서

불모기정)不謀其政)이라

하였다.

 

한 평생 나라를 위해

몸과 혼을 바친 우남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의

애국심을 거듭 거듭 

높게 평가하며 존경해

 마지 않는다.

 

  아쉬운 것이라 한다면

미합중국의 초대 대통령

George Washington 처럼 

단임(單任)을, 아니면 

중임(重任)을 하고 물러나

나라의 원로(元老)로서

 여생을 마쳤었더라면 ---

한학, 철학에 깊은 학식을 

가지셨던 선비로서 나라를 

경륜(經綸)하는지도자가

어떤 덕목(德目)을 

갖추어야 하고

어떤 인재(人材)

등용(登用)해야 하며

어떻게 백성들의

억울하고 아픈 마음을

헤아려야 하는지, 

36년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잔재(殘滓)

어떻게 청산淸算해야

하는지

 너무나 잘 알고

있었을텐데----

 매우 아쉽고 안타깝다.

여초(如初)라는 말이

새삼 가슴을 울린다

 

같은 시대 지구 반대쪽에서

독일 Nazi 부역자 숙청 반대

여론을 잠재운 Albert Canus의

말이 들렸을텐데---

"과거의 범죄를 벌하지 

않는 것, 그것은 미래의

범죄에 용기를 주는 것이다.

공화국 프랑스는 관용으로

건설되지 않는다"

- Albert Camus -

 

 불완전한 피조물 인류의 

역사는 아쉬움의

결정체(結晶體)인가!

 

영화가 우(右)로 치우친

듯한 느낌을 주었다면

중용(中庸)의 도(道)

벗어났음일까?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46 하늘나라(天國) 2023.04.09 1202
345 오행의 상생과 할아버지 2023.07.07 1148
344 가을, 그 끝자락에 서면 2023.11.11 869
343 비탄가(悲歎歌) 2023.05.16 544
342 빈대떡 타령 2023.05.21 506
341 막사발(沙鉢) 2023.09.13 500
340 먹이사슬 2023.11.10 430
339 저물어 가는 가을 2023.11.10 404
338 죽치고 있어야지! 2023.07.01 392
337 '풀꽃' 시감상(詩鑑賞) 2023.11.07 307
336 오작교(烏鵲橋) 전설(傳說) 2023.09.18 305
335 꽃과 씨 사이 2023.09.15 287
334 나그네도 울어 예리 2023.09.14 282
333 새 둥지 튼 원앙鴛鴦 한 쌍雙 2024.04.02 240
332 가을에는 2023.09.15 225
331 샛바람따라 2024.01.12 203
330 올챙이국수 2024.01.11 189
329 가다가 힘들 땐 2024.01.08 184
328 천지조화(天地造化) 2023.09.20 181
327 앙각仰角의 부활復活 2024.02.29 177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