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한식寒食

이한기2024.04.05 11:20조회 수 27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한식寒食

 

 국난을 당하여 국외로

숨어다니던 진나라

문공이 굶주림에

아사할 지경에 이르자

그의 넓적다리살을

베어 구워서 주군을

살린 의리의 충신

개자추.

 세월이 한참 흐른 후

왕이된 문공,

개자추를 찾았으나

벼슬을 마다하고

홀어머니와

면산에 들어가

살고 있었다

 문공이 아무리 불러도

산에서 나오지 않자

산불을

놓으면 나오려나 하여

산에 불을 놓아 버렸다.

하지만 개자추는

끝내 산에서

나오지 않고 홀어머니와

버드나무밑에서

불에 타 죽고 말았다.

 문공은 개자추를

애도하기 위하여 

이날은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게 하였다.

전해오는 개략적인

한식의 유래다.

 

*출처*

 -십팔사략十八史略 -

 
    <글쓴이 Note >

세시풍속인 한식은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 중 하나.

한식날 나라에서는

종묘와 능원에

제향하였다.

민간에서는 술, 과일,

떡 등의 음식으로

제사를 치렀다.

 

한식날 비가 오면

풍년이 들고

천둥이 치면

흉년이 들며

나라에 불상사가

일어난다고 한다.

 

중국 옛 풍속으로 이날은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그 유래를

찾기도 한다.

 

*한식寒食*

2024년 4월 5일 금요일

(갑진년 2월 27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8 쓸쓸한 여름 - 나 태주- 송원 2024.01.03 32
457 USS California(BB-44) 관리자 2024.02.21 14
456 추억의 사진들 관리자 2024.05.04 14
455 젊어질 수 있는 방법 이한기 2024.06.18 27
454 대부(大夫)(2) 이한기 2023.12.04 80
453 새 - 천상병- 송원 2024.02.10 8
452 생과 사 - 지천 ( 支泉 ) 권명오.- 관리자 2024.02.21 4
451 존재存在하라 이한기 2024.04.20 20
450 살아가며 - 노노족 김상호- 관리자 2024.01.07 19
449 볼리비아 여행지에서... - 이 외순- 관리자 2024.02.11 18
448 명장名將 일별一瞥 (3) 이한기 2024.02.28 45
447 내가 좋아하는 사람 이한기 2024.06.04 18
446 밥풀 - 이 기인- 관리자 2023.12.17 11
445 봄 날 이한기 2024.04.04 22
444 양과 늑대의 평화조약 이한기 2024.04.26 239
443 높새가 불면 - 이 한직 - 관리자 2023.12.17 5
442 그대여서/ 이명길 이한기 2024.01.07 41
441 과하지욕(胯下之辱) 이한기 2024.05.28 21
440 소월에 대하여 관리자 2023.12.04 9
439 귀천 -천상병- 송원 2024.02.10 8
이전 1 ... 3 4 5 6 7 8 9 10 11 12...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