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과하지욕(胯下之辱)

이한기2024.05.28 18:10조회 수 21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과하지욕(下之辱)

 

어려운 처지에서 인내심을

갖고 끝내 굴욕을 참아내다.

下之辱(과하지욕)

 

중국 한(漢)나라 때의 명장

한신(韓信)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남의 집에

빌붙어 밥을 얻어

먹으며 살았다.

그는 청년이 되어서도

가난에서 벗어날 

없었으나 장차 나라에서

이름을 떨치는 장군이

되겠다는 큰 뜻을 품고

무술 연마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래서 한신은 허름한

옷을 입었으나 허리에는

항상 긴 칼을 차고 다녔다. 

 

 그러던 어느 날 그가

고향인 회음현의 시장

거리를 지나갈 때였다.

마침 곁을 지나가던

건달이 그에게 시비를

걸었다. 

 

 “이봐! 겁쟁이 주제에

꼴사납게 칼을 차고 다녀?

네놈이 용기가 있다면

그 칼로 나를 한 번

찔러봐라!

못 한다면 내 가랑이

밑으로 기어 가야 한다.”

건달은 한신의 앞길을

가로 막고 보란 듯이

가랑이를 쩍 벌렸다. 

 

그러자 주위로 시장

사람들이 몰려들어

과연 사태가 어찌 되어

가는지 지켜보았다.

한신은 그때 바닥에

엎드려 건달의 가랑이

사이로 기어 갔다. 

 

구경하던 사람들이

낄낄대고 웃으며 그를

‘겁쟁이’라고 놀려댔다.

 

 오랜 세월이 흐른 후 

한신은 한나라를

세우는데 큰 공헌을 

초왕(楚王)에 봉해졌다.

 

이때 그는 고향을 찾아가

옛날 자신에게 치욕을

안겨줬던 바로 그 건달을

만났는데, 상대는

앙갚음하기 위해 온

것으로 알고 벌벌 떨고

있었다.

 

 그러나 한신은 오히려

그 건달에게 중위 벼슬을

주고서 주위 사람들에게

말했다.

 

“옛날 이 사람에게

망신을 당할 때 왜 내게

칼을 뺄 용기가 없었겠소?

그때 모욕을 참지 못하고

이 사람을 찔렀다면,

나는 죄인의 신세를 면치

못해 인생을 망치고

말았을 것이오. 

그때 그 치욕을 참고

이 사람의 가랑이 사이로

기어 갔기에 지금의

내가 될 수 있었지요. 

내게 인내심을 가르쳐 준

사람이니 고마움을 전할

수밖에요.”

 

이 같은 한신의

일화에서

‘과하지욕(下之辱)’

즉  ‘가랑이 밑으로

기어 가는 치욕(辱)’을

이르는 사자성어

(四字成語)가 나왔다.

 

큰 뜻을 지닌 사람은 쓸데

없는 일로 남과 다투지

않고, 굴욕을 견뎌내어

장차인물로 우뚝 서게

된다는 것이다.

 

- 옮긴글 -

 

*(과)*

사타구니  과

 

*下(하)*

1.아래  하, 밑  하

下向(하향)

2.아랫사람  하

下嫁(하가)

3.뒤  하 下略(하략)

4.낮출  하 下誠(하성)

5.내릴  하, 내려갈  하,

내려줄  하 下野(하야)

6.물리칠  하  却下(각하)

7.떨어질  하 下落(하락)

8.손댈  하, 착수할  하

下筆(하필)

9.끝날  하, 마칠  하

下學(하학)

10.조건  하, 환경  하

情勢下(정세하)

 

*之(지)*

1.갈(go)  지

之東之西(지동지서)

2. ~의  지

人之常情(인지상정)

3.이(this)  지

論之(논지)

 

*辱(욕)*

1.욕  욕, 욕될  욕,

욕보일  욕, 더럽힐  욕

辱說(욕설)

2.욕되게 할  욕

[[ '너무나 분에 넘치는

일'을 겸사(謙辭)하여

이르는 말 ]]

 

 

 

 

    • 글자 크기
웃음의 힘 (by 관리자) 문학평론가 유성호( 문학축제 강사) 영상 특강 (by keyjohn)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0 “어쩌면 시 쓰기가 멈춰지지 않아서”…‘여든’ 나태주 시인의 봄볕같은 고백 [북적book적] 관리자 2024.06.06 198
539 현충일-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애국선열과 국군 장병들을 기억하겠습니다 관리자 2024.06.06 3
538 동방의 등불 -타고르- 관리자 2024.06.06 0
537 6월의 시 모음 관리자 2024.06.05 2
536 내가 좋아하는 사람 이한기 2024.06.04 18
535 수도거성(水到渠成) 이한기 2024.06.01 35
534 하나에서 열까지 이한기 2024.06.01 31
533 제26회 재외동포 문학상 공모 … 오는 6월 30일까지 관리자 2024.05.30 9
532 “어쩌면 시 쓰기가 멈춰지지 않아서”…‘여든’ 나태주 시인의 봄볕같은 고백 [북적book적] 관리자 2024.05.30 307
531 나그네 관리자 2024.05.30 7
530 트바로티 김호중이 수감된 구치소에서 매일 아침 일어나는 일 관리자 2024.05.30 5
529 아프레 쓸라 (Apres cela) 관리자 2024.05.30 6
528 절영지회(絶纓之會) 이한기 2024.05.30 18
527 도척지견(盜拓之犬) 이한기 2024.05.30 15
526 접시꽃 당신 - 도 종환- 관리자 2024.05.30 5
525 소풍같은 인생 - 추가열- 관리자 2024.05.30 2
524 기다려주는 사람 이한기 2024.05.29 19
523 하이쿠(俳句, 배구) 감상 이한기 2024.05.29 16
522 웃음의 힘 관리자 2024.05.28 9
과하지욕(胯下之辱) 이한기 2024.05.28 21
이전 1 2 3 4 5 6 7 8 9 10... 29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