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어느 노老교수의 이야기

이한기2024.04.12 10:43조회 수 15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어느 노老교수의

이야기 

 

아래 글은 십여 년 전

부인과 사별하고

서울에 살고 있는

연세대 수학박사로

안동교육대학,

단국대교수를 역임한

분의 글입니다.

 

친구 한 사람 잃고 나니,

남은 당신들께 꼭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소.

 

어제는 지나갔으니

그만이고, 내일은 올지

안 올지 모를 일,

 

부디 내일을 위해

오늘을 참고 아끼는

어리석은 짓이란 이젠

하지 말기오.

 

오늘도 금방 지나간다오.

돈도 마찬가지요.

 

은행에 저금한 돈,

심지어는 내 지갑에

든 돈도 쓰지 않으면

내 돈이 아니란 말이오.

 

그저 휴지 조각에

지나지 않는다오.

뭘 걱정 해?

 

지갑이란 비워야 한다오.

비워야 또 돈이

들어 오지.

차 있는 그릇에 무얼

담을 수 있겠소?

 

그릇이란 비워 있을 때

쓸모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오.

 

뭘 또 더 참아야 하리까!

이젠 더 아낄 시간이

없다오.

 

먹고 싶은 거 있거들랑

가격표 보지 말고

걸들린듯이 사먹고,

 

가고 싶은데 있거들랑

원근 따지지 말고

바람난 것처럼 가고, 

사고 싶은 거 있거들랑

명품 하품 가릴 것 없이

당장 사시오.

 

앞으론 다시 그렇게

못한다오.

다시 할 시간이 없단

말이오.

 

그리고 만나고 싶은

사람 있거들랑 당장

전화로 불러내

국수라도 걸치면서,

하고 싶던 이야기

마음껏 하시오.

 

그 사람, 살아서 다시는

못 만날지 모른다오.

한 때는 밉고 원망스러울

때도 있었던

당신의 배우자, 친구,

 

그 사람 분명 언젠가 당신

곁을 떠날거요.

그렇지 않은 사람

이 세상에  한 사람도

없다오.

 

떠나고 나면 아차하고

후회하는 한 가지,

"사랑한다"는 말, 그 말

한마디 못한 거

그 가슴 저려내는 아픔,

당하지 않은 사람 절대

모를거요.

 

엎질러 진 물 어이 다시

담겠소?

지금 당장 양말

한 짝이라도 사서 손에

쥐어주고 고맙다

말하시오.

 

그 쉬운 그것도 다시는

못 하게 된다니까.

그리고 모든 것 수용하시오.

어떤 불평도 짜증도

다 받아 들이시오.

 

우주 만물이란 서로

다 다른 것,

그 사람인들 어찌 나하고

같으리까?

 

처음부터 달랐지만

그걸알고도 그렁저렁

지금까지

같이 산 거 아니오?

 

그동안 그만큼이나

같아졌으면 되었지!

뭘 또 더 이상 같아지란

말이오?

이젠 그대로 멋대로

두시오.

 

나는 내 그림자를

잃던 날!

내일부턴 지구도

돌지 않고 태양도 뜨지

않을 줄 알았다오.

 

그러기를 벌서 10년이

넘었지만 나는 매주

산소에 가서 그가 가장

좋아하던 커피 잔에

커피를 타 놓고

차디찬 돌에 입을 맞추고

돌아온다오.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겨우 이 짓밖에 없다오.

어리석다고, 부질없다고,

미친 짓이라고 욕해도 

난 어쩔 수 없다오.

제발 나같이 되지 마시오.

 

이것이 곧 당신들의

모습이니

"살아있을 때" 라는

공자도 못한

천하의 명언을

부디 실천하기 바라오.

 

지금 당장 넌지시

손이라도 잡고 뺨을

 비비면서 귓속말로

“고맙다”고 하시오.

 

안하던 짓 한다고

뿌리치거들랑

“허허”하고

너털웃음으로

크게 웃어 주시오.

 

이것이 당신들께

하고픈 나의 소박하고

간곡한 권고이니,

절대로 흘려듣지 말고

언제 끝나버릴지 모르는,

그러나 분명 끝나버릴

남은 세월 부디 즐겁게

사시구려!

 

    - 어느 노교수의 이야기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8 명장名將 일별一瞥 (3) 이한기 2024.02.28 45
477 나이 별칭(別稱) 1 이한기 2024.02.05 45
476 '22년 4월 애문 정모 결과 보고10 keyjohn 2022.04.11 45
475 바이든 대통령 취임 축시해설 특강1 keyjohn 2021.04.16 45
474 봄바람 향기香氣 이한기 2024.02.29 44
473 이李종길 형兄을 추모追慕 이한기 2024.02.13 44
472 착시와 패턴 -제65회 대학문학상 시 부문 가작4 관리자 2023.12.03 44
471 중앙일보 (7월의 시) 강화식 2021.08.11 44
470 산중문답(山中問答) 이한기 2024.01.19 43
469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10년전 서울대 합격생 수기 당선 관리자 2023.12.05 43
468 타령(打令) 이한기 2023.11.18 43
467 우연(偶然)의 일치(一致)? 이한기 2023.10.24 43
466 봄을 찾아(探春) 이한기 2024.02.22 42
465 말과 마부 이한기 2024.02.29 41
464 그대여서/ 이명길 이한기 2024.01.07 41
463 애문 2월 정모 결과 보고8 keyjohn 2022.02.14 41
462 2021 4월 정기모임 결과 보고 keyjohn 2021.04.12 41
461 노년 예찬(老年 禮讚)1 이한기 2024.06.17 40
460 다산(茶山) 정약용의 노년유정심서(老年有情心書) 관리자 2023.11.21 40
459 나태주 시인님의 시화 감상해 보세요-장 붕익 선생님께서 단체 카톡방에 올려 주셨습니다1 관리자 2023.11.14 40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