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내와 나 사이 - 이 생짖-

관리자2024.05.27 13:29조회 수 3댓글 0

    • 글자 크기

 

 

 



 

아내와 나 사이

 

이 생 진

 

 

 

아내는 76이고

나는 80입니다.

지금은 아침저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걸어가지만

속으로 다투기도

많이 다툰 사이입니다.

 

요즘은 망각을

경쟁하듯 합니다.

 

나는 창문을 열러 갔다가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냉장고 문을

열고서 우두커니

서 있습니다.

 

누구 기억이

일찍 들어오나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억은 서서히

우리 둘을 떠나고

마지막에는

 

내가 그의

남편인 줄 모르고

그가

내 아내인 줄

모르는 날도

올 것입니다.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그것을 무어라고 하겠습니까.

인생?

철학?

종교?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지난 2019년 봄 평사리 최참판 댁 행랑채 마당에서

박경리 문학관 주최로

‘제1회 섬진강에 벚꽃 피면 전국시낭송대회’가 열렸습니다.

 

60여 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던 낭송시가

바로 이생진 시인의

이 작품입니다.

 

70대 후반쯤 되어 보이는

남성 낭송가의 떨리고 갈라지는 목소리에 실려 낭송된 이 시는

청중들로 하여금 눈시울을 젖게 하였습니다.

좋은 낭송은

시 속의 ‘나’와

낭송하는 ‘나’와

그것을 듣고있는 ‘나’를

온전한 하나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내 몸의 주인인 기억이

하나둘 나를 빠져나가서

마침내 내가 누군지도 모르게 되는 나이.

 

나는 창문을 열려고 갔다가

그새 거기 간 목적을 잊어버리고

창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고,

 

아내는 무엇을 꺼내려고 냉장고에 갔다가

냉장고 문을 열어놓은 채

그 앞에 우두커니

서 있는 장면은

상상만 해도

앞이 막막하고

울컥하지 않습니까?

 

시인은 차분하게

이 참담한 상황을 정리합니다.

 

 

 

 우리의 삶이란

 “서로 모르는 사이가

서로 알아가며 살다가

다시 모르는 사이로 돌아가는 세월”

일 뿐이라고.

 

그리고 자책하는 목소리에 담아

우리를 나무라지요.

거창하게

인생이니,

철학이니,

종교니 하며

 

마치 삶의 본질이

거기에 있기나 한 것처럼 핏대를 올리는 당신들은

얼마나 어리석은가 하고.

 

진리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우린 너무 먼 데서 살았습니다.”. 

 

그러므로

‘아내와 나 사이’의 거리는

우리의 어리석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바로미터인 셈이지요. 

 

오늘도 당신은 좋은일만 있을겁니다.

 

 

2024년 5월 27일 월요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0 [애송시 100편-제18편] 님의 침묵 - 한용운 관리자 2024.01.29 5
539 애너벨리 -애드가 알란 포우- 관리자 2024.02.03 5
538 [시조}한산섬 달 밝은 밤에 -이 순신- 관리자 2024.02.13 5
537 백석 시 ‘흰 바람벽이 있어’ 바구지꽃의 정체는? [김민철의 꽃이야기] 관리자 2024.02.21 5
536 필라델피아를 끝으로 7일간의 여행을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관리자 2024.03.20 5
535 [축시] 축복의 길 -이 외순- 관리자 2024.04.04 5
534 핫핑크 철쭉 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관리자 2024.04.08 5
533 어미 오리와 22마리의 새끼오리들 관리자 2024.04.14 5
532 ‘주주들 난리 났다’ 테슬라 최신 자율주행, 상상 초월 근황 관리자 2024.04.14 5
531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명시 백선 관리자 2024.04.18 5
530 봄꽃을 보니 - 김 시천- 관리자 2024.04.20 5
529 사랑에 답함 - 나태주 관리자 2024.04.23 5
528 감정(感情) 관리자 2024.05.02 5
527 일본을 놀라게 한 너무나 아름다운 시인 -시바타 토요- 관리자 2024.05.07 5
526 “이게 월뭬만이에유~” 충청향우회 효도잔치 마련 관리자 2024.05.22 5
525 접시꽃 당신 - 도 종환- 관리자 2024.05.30 5
524 트바로티 김호중이 수감된 구치소에서 매일 아침 일어나는 일 관리자 2024.05.30 5
523 탈무드의 현명한 인생 처세술 관리자 2024.06.14 5
522 Happy Father's Day - Happy Runners Marathon Club 061624 관리자 2024.06.16 5
521 윤동주 서시 해서과 해 관리자 2024.06.27 5
이전 1 2 3 4 5 6 7 8 9 10...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