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도척지견(盜拓之犬)

이한기2024.05.30 09:02조회 수 15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도척지견 (盜拓之犬)

 

앞 집의 숫 닭은 아침에 

"꼬꼬댁"하며 활개를치고, 

 

​뒷 집 진도개는 

외부 사람이 접근 하면

짖어 대는 것이 그네들

일과(日課)였지요. 

 

​그런데, 언제인가 부터

닭(酉)과 개(犬)가

조용해 졌습니다. 

 

그래서 하루는 

개가 닭에게 물었습니다.

 

"넌 왜 새벽에 왜 울지

  않니?" 

 

​그 물음에 닭이 대답을

했습니다. 

 

​"우리 집 아저씨가

  백수가 됐는데 새벽

  잠을 깨워서야 되겠냐? 

 

​그런데, 

"넌 왜 요즘 짖지 않고

  조용한 거야"? 

 

​닭의 물음에 진도개가

대답했습니다. 

 

​요즘, 앞을 봐도

도둑놈이요, 뒤를 봐도

도둑놈들 판인데 짖어

봐야 뭐하냐? 

내 입만 아프지!! 

그래서 입 다물고 산다" 

 

​허허 그래요,

요즘은 부정, 부패하는 

도둑 놈들의 천국이니 

개가 짖지 않을 수도

있겠지요. 

 

​ 옛 말에 

"도척지견" 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도척의 개'

  라는 뜻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밥을 주는 자에게 

   무작정 굴종(屈從)하며, 

   맹종(盲從)하는 

   얼뜨기를 이르는 말이다. 

 

​ 이는 중국의 춘추전국

시대 "도척(盜拓)"이란 

악명 높은 큰 도둑이

있었는데, 그 졸개가

2 천여 명이 되었는데 

"도척"은 앞, 뒤를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유린(蹂躪) 하고, 

약탈 하는 악마와도

같았다고 한다.

 

​이러한 도척의 집에

있는 개(犬)는 도척이

어떤 놈인지 알지도

못하고, 그저 먹다

남은 밥 찌거기나

던져주는, "도척"

에게만 꼬리를 흔들어

대며 "도척" 에게

반(反)하는 사람은 

그가 누구이냐를 가리지

않고 옳고, 그름을

헤아리지 못하고 무작정

짖어대고, 물어뜯었다고

합니다. 

 

​"도척" 이 짖어라 하면

짖고, 물어라 하면

물었지요, 

 

​그 더러운 밥 찌꺼기

한 덩이를 얻어 먹고자 

"도척" 의 눈치를

보면서 연신 꼬리를

흔들었다. 

 

​그래서 만들어진 말이

"도척지견", 도척

(악명 높은 큰 도둑 )의 

개라는 뜻이다. 

 

​사람답게 사는 길을

모르는 채 "도척"의

개(犬)처럼 앞도, 뒤도

가리지 못하고 그저

먹다 남은 밥 찌거기 

한 덩이 던져주는

자에게 굴종하며, 

비열하고도 악랄한 개

노릇을 하는 인간 이하의

존재<畜狗>를 빗대어 

"도척의 개" 라고 한다.

 

정치인들 가운데 여기에

해당하는 자들이 있다면

그 나라는---

 

- 잠시 머무는 쉼터 중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3 탈무드의 현명한 인생 처세술 관리자 2024.06.14 4
552 『농무』의 시인 고 신경림 “어허 달구 어허 달구 한 세월 장똘뱅이로 살았구나” [김용출의 문학삼매경] 관리자 2024.06.14 4
551 속담(俗談) 이한기 2024.06.13 20
550 K2-18B 이한기 2024.06.13 14
549 양금희 시인 이한기 2024.06.12 18
548 고(故) 김광림 시인 이한기 2024.06.11 21
547 Happy Runners Marathon Club meeting on 060924 관리자 2024.06.10 1
546 기탄잘리 신께 바치는 노래- 타고르 관리자 2024.06.10 1
545 델타항공이 띄우는 ‘애틀랜타’… 한국인 美 여행 ‘핫플’ 거듭나 관리자 2024.06.10 0
544 가시/정호승 이한기 2024.06.09 13
543 102세 美참전용사,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식 참석 길에 숨져 관리자 2024.06.07 3
542 민심(民心)은 천심(天心) 이한기 2024.06.07 20
541 어떤 인생 관리자 2024.06.06 6
540 “어쩌면 시 쓰기가 멈춰지지 않아서”…‘여든’ 나태주 시인의 봄볕같은 고백 [북적book적] 관리자 2024.06.06 198
539 현충일-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애국선열과 국군 장병들을 기억하겠습니다 관리자 2024.06.06 3
538 동방의 등불 -타고르- 관리자 2024.06.06 0
537 6월의 시 모음 관리자 2024.06.05 2
536 내가 좋아하는 사람 이한기 2024.06.04 18
535 수도거성(水到渠成) 이한기 2024.06.01 35
534 하나에서 열까지 이한기 2024.06.01 31
이전 1 2 3 4 5 6 7 8 9 10... 29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