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한솥밥/문성해

keyjohn2022.02.18 19:17조회 수 57댓글 8

    • 글자 크기

기껏 싸준 도시락을 남편은 가끔씩 산에다 놓아준다.

산새들이 와서 먹고 너구리가 와서 먹는다는 도시락

애써 싸준 것을 아깝게 왜 버리냐

핀잔을 주다가

내가 차려준 밥상을 손톱만 한 위장 속에 그득 담고

하늘을 나는 새들을 생각한다.

내가 몇 시간이고 불리고 익혀서 해 준 밥이

날갯 죽지 근육이 되고

새끼들 적실 너구리 젖이 된다는 생각이

밥물 처럼 번지는 이 밤

은하수 물결이 잔잔히 고이는
어둠 아래
둥그런 등 맞대고
나누는 한솥밥이 다디 달다.


*옮긴이 노트

어디서든 함께 먹는 이들과의 인연은 예사롭지 않다.

눈길이 섞이고

말들이 섞이며

침방울들도 섞이겠지?


그래서 

간섭하고 궁금하고 귀찮고 그립고. . .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댓글 8
  • 2022.2.18 20:08 댓글추천 0

    어찌 이리도 마당발 이신지요?

    다른이의 글 옮겨주시어함께 

    감동의 시간 되게해주시니.....


  • 2022.2.18 20:51 댓글추천 0

    한솥밥 뿐이겠소. 된장뚝배기를 비롯

    모든 먹거리가 공용이었지요.

    빨아 먹은 숟가락, 젓가락이 공용 그릇에

    들락날락, 풍덩풍덩! 그래도 탈 없이

    잘 자랐다오. 요즈음은 너무 깔끔 떠는것

    같네요. 좋은 글 gas비가 만만찮은 데---

    Delivery해 주셔서 편안히 즐겨 감상하니

    미안합니다.

    늘 강녕하세요.


  • keyjohn글쓴이
    2022.2.18 21:24 댓글추천 0

    설란님!

    '마당발' 이란 칭찬에 담긴 수고와 간섭과 열린 마음이 보여 감사드립니다.

    '함께 먹는 다는 것'이 

    이리도 아름답고 숭고하게 다가 오는 것을 보면

    글의 힘은 밥심 못지 않은 듯 합니다.


    종우님!

    벌써 우리들의 이런 저런 것들이 섞여버린 까닭에

    루비콘강을 건너버린 거지요?

    제 개스비 걱정해주시는 섬세함이

    쬐끔 감동입니다.

  • keyjohn님께
    2022.2.19 00:52 댓글추천 0

    이 시대에 누가 Ceasar같은 인물이 있어

    Rubicon강을 건너 Veni !  Vidi !  Vici !라

    외칠자가 있다고 그럽니까! 

    우리 형세가 Rubicon강을 건너지는 않은

    것 같은데요. 뭐랄까? 우리말로 "이판사판"?

    아니면 "낙장불입"? 일도양단을 못한것

    같아요. 좀더 기다려 보십시다.

    늘 강녕하시기 바랍니다^^^


  • 이한기님께
    2022.2.19 07:08 댓글추천 0

    que sera sera 인가요.

    저의 현재 moto 입니다. ㅎㅎ

  • keyjohn님께
    2022.2.19 07:13 댓글추천 0

    그래서 pen is mightier than a sword  라고 하는가 봅니다.

    옛날에 밥 제대로 못먹고살 때도 글은 계속 배웠거든요.

  • 2022.2.19 07:04 댓글추천 0

    여기서도 반대양상의 표현이 잡힙니다

    둥그런 등 맞대었을 때는 보통 싸우고 난 직후인대 한 솥밥이 달다니요?

    혹시 새디스틱한 사람들의 표현같기도 하네요. ㅎ


  • 강창오님께
    keyjohn글쓴이
    2022.2.19 08:54 댓글추천 0

    자세히 살펴보니 그렇네요.

    어깨를 대고 함께 먹는다면 단밥 먹는 것이 자연스러운 데 ..

    등을 맞대고는 행동과 표현이 어긋나는 것 같네요.


    죽일 듯 싸우고 몸을 섞는 것과 같은 심리적 배경?

    아무튼 예리 하시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 민족대표 한용운 선생… '님의 생가'를 찾아서 관리자 2024.01.26 6
96 [문태준의 가슴이 따뜻해지는 詩] [4] 사랑 관리자 2024.01.22 6
95 제임스 조이스 연구 개척한 원로 영문학자 김종건 고대 명예교수 영면 관리자 2024.01.14 6
94 행복한 존재 - 김 은주- 관리자 2024.01.13 6
93 방송중학교 다니며 시집 펴낸 팔순 할머니 “황혼길 아름답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관리자 2024.01.10 6
92 남해금산 - 이 성복- 관리자 2024.01.02 6
91 삼순이 - 정찬일- 관리자 2024.01.02 6
90 빈 집 - 기형도- 관리자 2024.01.02 6
89 그 사이에 - 정 현종- 관리자 2024.01.01 6
88 더 깊이 사랑하여라 - J. Gaolt- 관리자 2023.12.04 6
87 제65회 대학문학상 시 부문 심사평 - 착시와 패턴 심사평 포함 관리자 2023.12.04 6
86 ‘아낌없이 주는 나무’ 뒤에 숨은 기가 막히고 속이 뚫리는 156편의 시+그림 관리자 2023.12.02 6
85 한국 역사의 숨은 진실 이한기 2024.06.26 5
84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이한기 2024.06.26 5
83 Happy Father's Day - Happy Runners Marathon Club 061624 관리자 2024.06.16 5
82 트바로티 김호중이 수감된 구치소에서 매일 아침 일어나는 일 관리자 2024.05.30 5
81 접시꽃 당신 - 도 종환- 관리자 2024.05.30 5
80 “이게 월뭬만이에유~” 충청향우회 효도잔치 마련 관리자 2024.05.22 5
79 일본을 놀라게 한 너무나 아름다운 시인 -시바타 토요- 관리자 2024.05.07 5
78 감정(感情) 관리자 2024.05.02 5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