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나이 별칭(別稱) 1

이한기2024.02.05 15:06조회 수 45댓글 0

    • 글자 크기

       

img.png

               

나이 별칭(別稱) 1

 

 

*15세만(14세)

지학(志學)

지우학(志于學)

배움에 뜻을 둔다

공자(孔子)의 논어(論語) 

 

*16세(만15세)

파과破瓜

과(瓜)를 비스듬히 자르면 

팔(八)자를 두 개

잇대어 쓴 것처럼 된다.

(8+8 = 16, 8×2 = 16)

 

*20세(만19세)

약관(弱冠)

약(弱)은 20세를 이른다.

  이 때 비로소 갓을 쓴다

- 예기(禮記) 곡례(曲禮) -

 

*30세(만29세)

이립(而立)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공자(孔子)의 논어(論語)  

 

*32세(만31세)

이모(二毛)

서른 두 살에 머리털이 

반백(半白)이 된

진(晋)나라 반악(潘岳)이 

쓴 글

二毛 : 흰머리털과

검은 머리털

 

*40세(만39세)

불혹(不惑)

사십이불혹

(四十而不惑)

 40이 되니  사리판단이

혼란을 일으키지 않는다

 

*48세(만47세)

상년(桑年)

상(桑)의 속자(俗字)인

상(桒)의 파자(破字)는

十十十十八 

십(十)이 네개(40),

팔(八)이 하나(8)

즉 (40+8 = 48)

 

*50세(만49세)

1.지천명(知天命)

2.지명(知命) 

하늘의 명(命)을 알았다

3.애년(艾年)

흰 약쑥(艾)처럼

머리털이 희어진다

 

*60세(만59세)

이순(耳順)

    1.비로소 모든 것을

      순리대로 이해한다.

2.모든 일이 귀에

  거슬리지 않는다

 

   

 

    • 글자 크기
명장名將 일별一瞥 (3) (by 이한기) '22년 4월 애문 정모 결과 보고 (by keyjohn)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7 명장名將 일별一瞥 (3) 이한기 2024.02.28 45
나이 별칭(別稱) 1 이한기 2024.02.05 45
475 '22년 4월 애문 정모 결과 보고10 keyjohn 2022.04.11 45
474 바이든 대통령 취임 축시해설 특강1 keyjohn 2021.04.16 45
473 봄바람 향기香氣 이한기 2024.02.29 44
472 이李종길 형兄을 추모追慕 이한기 2024.02.13 44
471 착시와 패턴 -제65회 대학문학상 시 부문 가작4 관리자 2023.12.03 44
470 중앙일보 (7월의 시) 강화식 2021.08.11 44
469 산중문답(山中問答) 이한기 2024.01.19 43
468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10년전 서울대 합격생 수기 당선 관리자 2023.12.05 43
467 타령(打令) 이한기 2023.11.18 43
466 우연(偶然)의 일치(一致)? 이한기 2023.10.24 43
465 봄을 찾아(探春) 이한기 2024.02.22 42
464 말과 마부 이한기 2024.02.29 41
463 그대여서/ 이명길 이한기 2024.01.07 41
462 애문 2월 정모 결과 보고8 keyjohn 2022.02.14 41
461 2021 4월 정기모임 결과 보고 keyjohn 2021.04.12 41
460 다산(茶山) 정약용의 노년유정심서(老年有情心書) 관리자 2023.11.21 40
459 나태주 시인님의 시화 감상해 보세요-장 붕익 선생님께서 단체 카톡방에 올려 주셨습니다1 관리자 2023.11.14 40
458 3월 애문 정모 결과 보고2 keyjohn 2022.03.14 40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