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추포가(秋浦歌)/이백(李白)

이한기2023.10.13 11:01조회 수 60댓글 0

    • 글자 크기

             추포가(秋浦歌)

 

맑은 물엔 하이얀 달 뜨고

(綠水淨素月 녹수정소월)

 

달빛 휘저어 백로 나는 밤

(月明白鷺飛 월명백로비)

 

사나이는 듣네, 마름 따는 아가씨들이

(郞聽採菱女 낭청채릉녀)

 

돌아가며 부르는 노랫 소리를!

(一道夜歌歸 일도야가귀)

 

                -- 이백(李白) --

         

                  <가을의 연정(戀情)>

이 시는 오언절구(五言絶句)다.

여름은 가고 어느새 하늘이 높고 바람도

서늘한 가을이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인간이 사는 곳이라면  Romance는 있게

마련이다.

'삼수갑산(三水甲山) 나 왜 왔노'라고

노래한 '소월(素月)'과도 같은 처지에

'이백'이 있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청춘의

아름다운 정경(情景)을 안 보고 넘길

사람은 아니다.

'이백'은 딱딱한 도덕보다 본능과 정열의

편에 서 있는 사람이었다.

달밤 떼지어 멀어져 가며 부르는

아가씨들의 노래에 가만히 귀 기울이고

있는 사나이, 그것은 인생의 본원(本原)에

동경(憧憬)을 보내는 모습이 아니겠는가!

시인은 타인의 정열에 따뜻한 공감을

갖는다.

*마름:  호수, 연못에 사는 한 해살이 수생

식물, '마름'이란 이름은 열매 모양이 마름모 

공간에서 유래. 열매는 '물밤'으로도 불리며

식용, 약용.

 

이백(李白)(701~762) : 당나라 시인, 아호는

청련거사, 자는 태백(太白).

사람들은 '이백'을 시선(詩仙)이라 부른다.

그가 술을 좋아했기에 주선(酒仙)이라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그의 시문학과 관련된 주제(主題)는 도교

(道敎), 술 등이 유명하다.

1,100여 수의 많은 시가 남아 있다.

     

                종우 이한기(미주한국문협 회원)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3년 10월 13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0 My life has been the poem.... 관리자 2024.01.09 10
419 거리에 소리 없이 비 내리네 - 아르띄르 랭보- 관리자 2024.01.09 17
418 비오는 날의 기도 - 양광모- 송원 2024.01.09 15
417 방송중학교 다니며 시집 펴낸 팔순 할머니 “황혼길 아름답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관리자 2024.01.10 6
416 술잔을 권하노라 - 우 무룡- 관리자 2024.01.10 12
415 꽃 - 로버트 크릴리- 관리자 2024.01.10 15
414 개여울 - 김 소월 관리자 2024.01.11 14
413 2024 경상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시 - 솟아오른 지하 황주현 관리자 2024.01.11 13
412 국수 - 백석- 관리자 2024.01.12 10
411 국수가 먹고 싶다 - 이상국- 관리자 2024.01.12 5
410 평상이 있는 국수 집 - 문태준- 관리자 2024.01.12 12
409 칼 국수 - 김 종재 - 관리자 2024.01.12 5
408 떠도는 자의 노래 - 신 경림- 관리자 2024.01.12 7
407 걸림돌 - 공 광규- 관리자 2024.01.12 13
406 조선초대석 - 박정환 전 플로리다 한인연합회장 관리자 2024.01.12 14
405 경쟁(競爭)?, 교감(交感)? 이한기 2024.01.12 23
404 행복한 존재 - 김 은주- 관리자 2024.01.13 6
403 제임스 조이스 연구 개척한 원로 영문학자 김종건 고대 명예교수 영면 관리자 2024.01.14 6
402 풀꽃 시인 부부 관리자 2024.01.14 16
401 탈무드 인맥관리 17계명 관리자 2024.01.14 10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13 14...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