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행(山行)

이한기2023.12.01 09:43조회 수 59추천 수 1댓글 0

    • 글자 크기

                           산행(山行)

 

나를 이끌고 돌(石)길이 자꾸 산(山) 속 깊이

   들어가네

(遠上寒山石徑斜 원상한산석경사)

 

이윽고 흰 구름 이는 곳, 몇 채의 인가(人家)

(白雲生處有人家 백운생처유인가)

 

나는 수레를 멈추고 앉는다. 아, 저녁 햇빛에

   붉은 가을

(停車坐愛楓村晩 정거좌애풍촌만)

 

이월(二月)의 꽃보다 붉은 산(山)에 가득한

   가을!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 두목(杜牧) -

 

칠언절구(七言絶句)의 시(詩). 두목(杜牧)의

시(詩)는 미끈함이 있다고 한다.

구성이나 언어가 빈틈이 없이 꽉 짜여 있다.

언어와 시상(詩想)은 과불급(過不及)이 없는

조화(調和)를 이루었다.

이는 그의 정신(精神)이 균형(均衡)을 지니고

있는데서 오는 것이리라. 균형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그는 표현기술에 있어서는

가(可)히 명수(名手)라 할 수 있겠다.

     이 시(詩)를 소리내어 읽어보면 요즈음

Modernist의 시(詩)를 읽을 때와 같은 쾌감

(快感)을 느낄 수 있을런지도---

 

*두목(杜牧)(803 ~ 852)은 당(唐)나라 후기

    (後期)의 시인. 아호(雅號)는 번천(樊川), 

                     자(字)는 목지(牧之).

 

          - 종우 이한기(미주한국문협 회원) -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3년 12월 1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 가을 무덤 祭亡妹歌(제망매가)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9
159 정거장에서의 충고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11
158 입속의 검은 잎 - 기형도- 관리자 2024.01.02 9
157 엄마 걱정 - 기형도- 관리자 2024.01.02 8
156 질투는 나의 힘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13
155 대학 시절 - 기 형도- 관리자 2024.01.02 8
154 빈 집 - 기형도- 관리자 2024.01.02 6
153 Happy Runner's Marathon Club 회원님들 관리자 2024.01.02 12
152 [디카시]나목 - 정성태 관리자 2024.01.01 3
151 [나의 현대사 보물] 김병익 평론가-‘우리 사회는 앞으로 어느 쪽을 지향해야 할 것인가’ 시대적 고민이 '문학과 지성' 으로 이어져 관리자 2024.01.01 18
150 그 사이에 - 정 현종- 관리자 2024.01.01 6
149 시간의 그늘 - 정 현종- 관리자 2024.01.01 7
148 풀 - 김 수영 관리자 2024.01.01 8
147 산정묘지山頂墓地 1- 조정권 관리자 2024.01.01 5
146 빈교행(貧交行)/두보(杜甫) 이한기 2023.12.29 63
145 간조 - 민구 시인- [책&생각] 세밑, 마흔살 시인의 이토록 투명한 청승 관리자 2023.12.22 10
144 평생 시인의 시집 한 권, ‘숨어 있는 향수’ 관리자 2023.12.22 10
143 12월 저녁의 편지 송원 2023.12.22 13
142 12월엔.... 송원 2023.12.21 9
141 그 손 - 김 광규 송원 2023.12.19 14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30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