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한기
- 국가유공자
- 계간 미주문학 등단
- 미주한국문인협회원
- 애틀랜타문학회원

머릿속의 사진(寫眞) 한 장

이한기2023.10.24 13:42조회 수 77댓글 0

    • 글자 크기

    머릿속의 사진(寫眞) 한 장

                                       淸風軒

 

 아래 사진(寫眞)은 지금부터

60여 년 전,

수학(數學)선생님께서 암기

(暗記)하여야 한다며 나에게

강요(强要)한 사진 가운데

한 장이다.

(물론 사진에 대한 설명은

해주었다)

 

                    <사진 # 1>

                    Sin 0° = 0

                  Sin 30° = 1/2

            Sin 45° = 1/(Root2)

            Sin 60° = (Root3)/2

                  Sin 90° = 1

 

  즉 0°, 90°와 90°의 1/3, 1/2,

2/3인 특수(特殊)한 각(角)인

30°, 45°, 60°, 이들 각에 대한

삼각비(三角比)값을 확실히

오랫동안 머릿속에 넣어두면

삼각함수(三角函數)를 좀 더

흥미를 갖고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사진 # 1은 외워야할

것이 많은 고등학생들이

외워도 쉽게 잊어 버린다.

왜냐하면 그 값이 불규칙하기

때문이다.

모든 수학첵에는 사진 # 1이

찍혀 있다.

                   

                     <사진 # 2>

             Sin   0° = (Root 0)/2

             Sin 30° = (Root 1)/2

             Sin 45° = (Root 2)/2

             Sin 60° = (Root 3)/2

             Sin 90° = (Root 4)/2

 

 사진 # 2는 규칙적이고 수십

년이 지나도 머릿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을 것이다. 아마도 어느

수학책에도 사진 # 2와 같이

기록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물론 사진 # 2를 머릿속에

넣어 두지 않아도 이등변

삼각형(二等邊三角形)의

성질, 닮은꼴삼각형의 성질, 

합동(合同)삼각형의 성질,

Pythagoras의 정리를 이용

하여 구할수 있으나 시간을

 다투는 시험 때 사진 # 2를

머릿속에 넣어 두고 써먹는

것이 최상이라고 본다.  

 

 돈으로 사려고해도 살 수

없는 사진 # 2, 귀여운 손자,

손녀가 9학년이나

10학년이 되었을 때

할아버지, 할머니가 그들에게

선물로 준다면 흥미없고

어렵다고 생각하는

수학(數學)을 좋아 할지도

모를 일이다.

미국의 고등학교는

영어 Writing 그리고 수학

이 두 과목에서 정해진 점수

이상을 받아야 졸업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영어 Writing과

수학에서 정해진 점수를 얻지

못하여 졸업을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약 30%에 이른다

 한다.

 

* 삼각비

(三角比 Trigonometric Ratio)

직각삼각형(直角三角形)에서

빗변과 밑변이 이루는 각(角)에

대한 세 변(邊) 사이의 비(比).

             

             (높이 / 빗변) (Sine)

           (밑변 / 빗변) (Cosine)

          (높이 / 밑변) (Tangent)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66 무명용사(無名勇士) 영령(英靈) 2023.11.11 103
165 Atlanta에 서설(瑞雪)이 내리는데 2023.09.30 102
164 상흔(傷痕) 2024.06.15 101
163 수저(匙箸) 타령 2023.11.07 100
162 낮은 포복(匍匐)해 보는 게 2023.11.05 100
161 어색(語塞)해 단상(斷想) 2023.11.06 99
160 하도 더워서 2024.06.17 96
159 돌아가는 길이 지름길 2023.10.31 96
158 더위를 잊는다 2023.09.21 95
157 정월대보름 1 2023.11.01 94
156 능소화(凌霄花) 2023.10.09 94
155 두더지 가족 2023.10.11 93
154 삶, 그 저물녘에서 2023.10.11 91
153 갈바람이 속삭인다 2023.10.07 91
152 침묵(沈默)은 금(金)이라고? 2023.09.22 91
151 금선탈각(金蟬脫殼) (2) 2023.09.30 90
150 고개 숙여 보자스라 2023.11.06 89
149 추모! 시인 김남조(金南祚) 선생 2023.10.12 89
148 하늘은 높이 올라 2023.11.05 88
147 민초(民草)들은 꽃을 피울까? 2023.09.22 88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8다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