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에는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비방이나 험담은 자제 해주시기 바랍니다

추포가(秋浦歌)/이백(李白)

이한기2023.10.13 11:01조회 수 60댓글 0

    • 글자 크기

             추포가(秋浦歌)

 

맑은 물엔 하이얀 달 뜨고

(綠水淨素月 녹수정소월)

 

달빛 휘저어 백로 나는 밤

(月明白鷺飛 월명백로비)

 

사나이는 듣네, 마름 따는 아가씨들이

(郞聽採菱女 낭청채릉녀)

 

돌아가며 부르는 노랫 소리를!

(一道夜歌歸 일도야가귀)

 

                -- 이백(李白) --

         

                  <가을의 연정(戀情)>

이 시는 오언절구(五言絶句)다.

여름은 가고 어느새 하늘이 높고 바람도

서늘한 가을이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인간이 사는 곳이라면  Romance는 있게

마련이다.

'삼수갑산(三水甲山) 나 왜 왔노'라고

노래한 '소월(素月)'과도 같은 처지에

'이백'이 있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청춘의

아름다운 정경(情景)을 안 보고 넘길

사람은 아니다.

'이백'은 딱딱한 도덕보다 본능과 정열의

편에 서 있는 사람이었다.

달밤 떼지어 멀어져 가며 부르는

아가씨들의 노래에 가만히 귀 기울이고

있는 사나이, 그것은 인생의 본원(本原)에

동경(憧憬)을 보내는 모습이 아니겠는가!

시인은 타인의 정열에 따뜻한 공감을

갖는다.

*마름:  호수, 연못에 사는 한 해살이 수생

식물, '마름'이란 이름은 열매 모양이 마름모 

공간에서 유래. 열매는 '물밤'으로도 불리며

식용, 약용.

 

이백(李白)(701~762) : 당나라 시인, 아호는

청련거사, 자는 태백(太白).

사람들은 '이백'을 시선(詩仙)이라 부른다.

그가 술을 좋아했기에 주선(酒仙)이라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그의 시문학과 관련된 주제(主題)는 도교

(道敎), 술 등이 유명하다.

1,100여 수의 많은 시가 남아 있다.

     

                종우 이한기(미주한국문협 회원)

 

*Atlanta 한국일보 게재

    (2023년 10월 13일)

 

 

 

 

    • 글자 크기

댓글 달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 행복 - 천상병- 관리자 2024.02.09 7
119 해에게서 소년에게 - 최남선- 관리자 2024.02.04 7
118 돌맹이 하나 - 김 남주- 관리자 2024.01.29 7
117 광야 - 이 육사- 관리자 2024.01.29 7
116 떠도는 자의 노래 - 신 경림- 관리자 2024.01.12 7
115 시간의 그늘 - 정 현종- 관리자 2024.01.01 7
114 [동화] 문조 - 김옥애 관리자 2023.12.04 7
113 바보같은 삶- 장기려 박사님의 삶 관리자 2023.12.03 7
112 시를 쓰는 바보 이한기 2024.06.26 6
111 아리랑 이한기 2024.06.26 6
110 아프레 쓸라 (Apres cela) 관리자 2024.05.30 6
109 이정무 이정자 문우님을 만나 뵙고 왔습니다 관리자 2024.05.24 6
108 오월 - 피 천득 관리자 2024.05.22 6
107 익모초(益母草) 를 선물로 드립니다 관리자 2024.04.14 6
106 4월의 환희 - 이 해인- 관리자 2024.04.11 6
105 [책&생각]나는 이제 달리지 않고 누워 있다 관리자 2024.04.08 6
104 나태주 시인과 팬 김예원 작가… 50년 차이에도 “우리는 친구” 관리자 2024.04.08 6
103 봄이 오면 - 이 해인- 관리자 2024.03.24 6
102 “절대 월드클래스 아니다”…아버지 혹평했지만 손흥민에게 벌어진 일 관리자 2024.03.20 6
101 손흥민, 애스턴 빌라전 1골2도움…8시즌 연속 공격포인트 20개 돌파 관리자 2024.03.10 6
첨부 (0)